NGC 7635 14

NGC 7635 : 거품성운

Image Credit: NASA, ESA, Hubble Heritage Team - Reprocessing by Maksim Kakitsev 거대한 질량의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별폭풍이 만들어낸 이 별사이 우주공간의 유령은 놀랍게도 익숙한 형채를 띠고 있다. NGC 7635로 등재되어 있는 이 천체는 거품성운(the Bubble Nebula)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진 자체는 세부적인 모습을 담아낸듯 보이지만 사실 이 거품의 지름은 7광년에 달하며 대단히 파괴적인 사건이 진행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증거가 된다. 거품 중심으로부터 상단 좌측으로 보이는 별은 O-타입의 별로서 우리 태양보다 수백 배 더 밝고 질량은 약 45배에 달하는 별이다. 이 별로부터 뿜어져 나온 격렬한 별폭풍과 강력한 복사가 주위를 둘러..

NGC 7635

Image Credit: Göran Nilsson & The Liverpool Telescope 이 사진에는 거품과 구름의 대결이 담겨 있다. NGC 7635로 등재되어 있는 거품성운은 거품 안쪽 우측에 푸른색으로 보이는 무거운 별 BD+602522로부터 몰아쳐나오는 별폭풍에 의해 부풀려지고 있다. 그런데 이 거품의 바로 옆에는 거대한 분자구름이 자리잡고 있다. 이 분자구름이 오른쪽 멀리 붉은색으로 보인다. 이곳에서 억누를수 없는 힘이 굳건하게 버티고 있는 천체와 흥미로운 방법으로 맞닥뜨리고 있다. 이 분자구름은 거품가스의 팽창을 품을 수 있지만 이 거품의 중심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고온 복사에 의해 파괴되고 있다. 이 고온 복사는 분자 구름 내의 고밀도 지역을 가열시켜 빛을 뿜어내고 있다. 약 10광년의..

NGC 7635 : 우주바다의 거품

Image Credit & Copyright: Rolf Geissinger 이 광대역 사진의 한복판에 별들과 불타오르는 가스가 연출하는 우주의 바다를 둥둥 유영하고 있는 환영과도 같은 천체는 NGC 7635로 등재되어 있는 거품성운이다. 10광년 정도 폭을 가지고 있는 이 작은 거품 성운은 무거운 별로부터 뿜어져나오는 폭풍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성운은 지구로부터 11,000 광년 거리, 케페우스자리와 카시오페이아자리 경계에 위치하고 있는 가스와 먼지 구름 복합체 내에 자리잡고 있다. 숨막힐듯 아름다운 풍경을 담고 있는 이 사진의 왼쪽 하단으로는 산개별무리 M52가 자리잡고 있다. 이 별무리는 지구로부터 5,000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거품성운의 상단 우측으로는 Sh2-157이라는 발광지역이..

거품성운(NGC 7635)에 다가서기

Visualization Credit: NASA, ESA, and F. Summers, G. Bacon, Z. Levay, and L. Frattare (Viz 3D Team, STScI); Acknowledgment: T. Rector/University of Alaska Anchorage, H. Schweiker/WIYN and NOAO/AURA/NSF, NASA, ESA, and the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거품성운에 점점 다가선다면 어떤 모습을 보게 될까? 무거운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별폭풍과 복사에 의해 팽창을 거듭하고 있는 이 거품은 직경이 7광년에 이른다. 안쪽에 있는 뜨거운 별은 태양보다 1천배나 더 밝은 별이며 성운의 중심에서 점점 벗어나고 있다. ..

NGC 7635와 M52

Image Credit & Copyright: Sébastien Gozé 사진 한복판에 거품이 보이는가? 이 광대역 사진에서 별과 불타오르는 가스가 만들어내는, 마치 우주의 바다에서 떠다니는 듯이 보이는 이 가냘픈 천체는 NGC 7635, 거품성운(the Bubble Nebula)으로 등재되어 있는 천체이다. 약 10 광년 폭의 이 거품성운과 별사이 우주공간의 가스와 먼지구름이 만들어내고 있는 더 거대한 복합지역은 11,000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케페우스자리와 카시오페이아자리 사이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사진에는 또한 산개별무리 M52가 연출해내는 숨막히는 비경이 포함되어 있다.(상단 왼쪽) M52는 지구로부터 약 5,000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사진의 폭은 약 2도 정도로서 거품성운까지..

NGC 7635 : 허블 26주년 기념 발표 사진

사진 1> 허블우주망원경의 26번째 생일을 기념하여 천문학자들이 초고온의 무거운 별이 만들어낸 거대한 거품 사진을 조명하였다. NGC 7635로 등재된 거품성운을 촬영한 허블 사진이 허블우주망원경의 26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은 1990년 4월 24일 STS-31 우주왕복선에 실려 지구 공전 궤도에 실치되었다. 우주비행사이자 NASA 과학임무위원회의 국장보인 존 그룬스펠드(John Grunsfeld)의 소감은 다음과 같다. " 허블우주망원경의 26번째 태양 공전을 축하하기 위해 갓태어난 어린 별의 역동적이면서도 흥미로운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멋진 사진으로 담아내 발표하는 이벤트를 마련했습니다. 허블우주망원경에 탑재된 WFC3가 촬영한 이 거품성운의 모습은 허블우주망원경..

NGC 7635의 확대사진

Image Credit: NASA, ESA, Hubble Legacy Archive; Processing & License: Judy Schmidt 이것은 거품 대 구름의 모습이다. NGC 7635 거품성운은 중심의 무거운 별 BD+602522로부터 쏟아져나오는 별폭풍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성운이다. 그런데 그 옆집에 살고 있는 거대한 분자구름이 오른쪽에 보인다. 이곳에서, 억누를수 없는 힘이 움직일 수 없는 물체를 흥미로운 방법으로 만나게 된다. 구름은 거품 가스의 팽창을 막을 수 있지만 거품의 중심별로부터 쏟아져나온 뜨거운 복사에 의해 불꽃을 튀기게 된다. 이 강력한 복사가 분자구름의 고밀도 지역을 뜨겁게 달구면서 빛을 뿜어내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색채가 입혀져 대비를 연출하게..

거품 성운(NGC 7635)

Image Credit & Copyright: Bernard Michaud 거대한 질량의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별폭풍이 만들어낸 이 성간 우주의 유령은 놀랍게도 익숙한 형채를 띠고 있다. NGC 7635로 등재되어 있는 이 천체는 거품성운(the Bubble Nebula)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진 자체는 세부적인 모습을 담아낸듯 보이지만 사실 이 거품의 지름은 10광년에 달하며 대단히 파괴적인 사건이 진행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증거가 된다. 거품 중심으로부터 하단 좌측으로 보이는 별은 O-타입의 별로서 우리 태양보다 수백배 더 밝고 질량은 약 45배에 달하는 별이다. 이 별로부터 뿜어져 나온 격렬한 별폭풍과 강력한 복사가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좀더 밀도가 높은 분자구름들을 밀쳐내면서 이와같이 불타오르는 가..

NGC 7635

거대한 질량의 별로부터 쏟아져나오는 별폭풍이 흡사 유령과도 같은 모습을 만들어내고 있다. NGC 7635로 등재되어 있는 이 천체는 거품성운(the Bubble Nebula)으로 불리기도 한다. 사진 자체는 세부적인 모습을 담아낸듯 보이지만 사실 이 거품의 지름은 10광년에 달하며 대단히 파괴적인 사건이 진행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증거가 된다. 거품 우측에 보이는 별은 O-타입의 별로서 우리 태양보다 수백배 더 밝고 질량은 약 45배에 달하고 있다. 이 별로부터 뿜어져 나온 격렬한 별폭풍과 강력한 복사가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좀더 밀도가 높은 분자구름들을 밀쳐내면서 이와같이 불타오르는 가스구조물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 성운은 카시오페이아 자리 방향으로 1만 1천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협대역 촬영 ..

M52와 NGC 7635

눈으로 보기에 왼쪽 아래의 거품 성운과 그 위와 오른쪽으로 위치하고 있는 산개성단 M52는 먼지게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한쌍의 천체는 다른 스케일에서는 균형을 잃고 있는 천체이다. O 타입의 무거운 별로부터 몰아치는 별폭풍에 불려나온 성간 먼지와 가스 복합체에 잠겨져 있는, NGC 7635로도 알려져 있는 거품 성운의 너비는 채 10광년이 되지 못한다. 그에 반해 M52는 대략 천여개의 별들이 몰려 있는 상개성단이다. 이 성단의 지름은 약 25광년이다.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복쪽 경계방향으로 보이는 이 천체들의 거리를 보면, 거품 성운 및 이 성운과 연계된 성운 복합체들의 거리는 약 1만 1천광년임에 반해 M52의 거리는 약 5천 광년이다. 이 광대역 사진의 폭은 하늘의 2도 영역에 달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