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32. 방패자리(SCUTUM)

2024. 11. 23. 16:58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소유격 표기 : Scuti
약어 표기 : Sct
별자리 크기 순위 : 84번째
기원 :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가 만든 7개 별자리 중 하나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방패자리, 방패좌, 순좌(楯座)

방패자리는 다섯 번째로 작은 별자리입니다. 

이 별자리는 1684년 폴란드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1611~1687)가 '소비에스키의 방패(Scutum Sobiescianum)'라는 이름으로 소개한 별자리입니다. 
헤벨리우스는 1679년 화재로 피해를 입은 자신의 천문대를 재건하는데 도움을 준 폴란드의 왕 얀 3세 소비에스키(John III Sobieski)를 기려 이 별자리에 '소비에스키의 방패'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 별자리에 대한 헤벨리우스의 설명과 표가 처음 등장한 것은 1684년 8월, 당시에 가장 유명했던 과학잡지 <악타 에루디토룸(Acta Eruditorum)>을 통해서였습니다. 

헤벨리우스는 6년 전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가 영국왕 찰스 2세를 기려 만든 '찰스의 참나무자리(Robur Carolinum)'을 전거로 활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찰스의 참나무자리는 오늘날 별자리로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이로서 방패자리는 정치적 이유로 만들어져 여전히 사용되는 유일한 별자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방패자리는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는 별자리였습니다. 

영국의 첫 왕립천문학자였던 존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1646~1719)는 자신의 별목록(1725)과 별지도(1729) 모두에 방패자리를 싣지 않았습니다. 
헤벨리우스가 만든 여러 별자리를 채택했음에도 불구하고 방패자리는 끝내 인정하지 않은 것입니다. 
플램스티드는 헤벨리우스가 기록한 방패자리의 별을 모두 독수리자리에 포함시켰습니다. 

반면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는 '소비에스의 방패(Scutum Sobiesii)'라는 이름으로 이 별자리를 우라노그라피아와 별목록 모두에 포함시켰습니다.


그림 1
보데의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 9장에 등장하는 방패자리.
'SCUTUM SOBIESII'라는 이름이 보입니다. 
이 별자리는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별자리인 안티누스자리(왼쪽)와 뱀자리 뒷부분(상단 우측), 그리고 궁수자리 사이 공간을 비집고 만들어진 별자리입니다. 


하지만 영국 천문학자 프란시스 베일리는 1845년 발행된 영국학술협회 천체목록(British Association Catalogue)에서 방패자리를 다시 없애버렸습니다. 

이러한 밀고당기기는 미국 천문학자 벤자민 굴드(Benjamin Gould)가 아르헨티나 천체도(Uranometria Argentina)목록(1879)에 방패자리를 포함시킴으로써 일단락 되었습니다. 
굴드는 방패자리의 별에 그리스 알파벳을 처음으로 표기하였습니다. 
이것이 방패자리가 살아남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방패자리는 독수리자리(AQUILA)와 궁수자리(SAGITTARIUS)사이 밝은 미리내 지역에 위치합니다. 
그래서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확연히 눈에 띠죠. 

방패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4등급 밖에 되지 않으며 고유한 이름을 가진 별도 없습니다.  
하지만 이 별자리에는 야생오리성단(the Wild Duck cluster)이라는 유명한 성단이 있습니다. 
야생오리성단은 부채꼴 모양으로 대형을 짓고 날아가는 야생오리떼의 모습을 닮아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림 2
1690년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소비에스키의 창공(irmamentum Sobiescianum)에 등장하는 방패자리.
'SCUTUM SOIESCIAN'이라는 이름이 달려 있습니다. 
헤벨리우스가 방패에 십자가를 그린 이유는 1683년 신성로마제국의 수도인 비엔나를 포위 공격한 터키군을 격퇴하는데 도움을 준 얀 소비에스키 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서였습니다. 

헤벨리우스는 소비에스키의 창공의 부록인 <천문학의 선구자(Prodromus Astronomiae)>에 왕의 업적에 대한 기다란 헌사를 기록했습니다. 

방패자리는 4등급과 5등급의 별 일곱 개로 만들어졌습니다.  
그 중 세 개가 십자가 주위를 장식하고 나머지 네 개는 방패의 테두리를 장식합니다. 
헤벨리우스는 이중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별을 '성운기(nebulous)'가 있다고 기록하였습니다. 

사실 이 별은 오늘날 방패자리 감마(γ)별로서 이중별입니다. 
방패자리의 별 중 프톨레마이오스 목록에 기록된 별은 없습니다. 
방패자리가 있는 지역은 1515년 발행된 뒤러(Albrecht Durer, 1471~1528)의 목판화 별지도와 같은 초기 별지도에도 빈 공간으로 등장합니다. 

초창기 필사본을 보면 헤벨리우스는 방패자리에 할당한 일곱 개 별을 원래는 안티누스자리의 하반신을 구성하는데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1684년, 폴란드의 왕을 기리는데 사용하는 것이 더 낫다는 판단을 했습니다.  
물론 소비에스키 왕은 자신에게 헌정한 별자리가 원래 로마 황제의 동성애 상대인 소년의 발을 장식하는 별이라는 것을 전혀 눈치채지 못했을 것입니다. 
        
헤벨리우스의 별지도에 등장하는 모든 별자리들과 마찬가지로 이 그림 역시 천구에서 내려다본 거울상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방패자리를 처음으로 소개한 1684년, <악타 에루디토룸(Acta Eruditorum)>에서는 지구에서 올려다본 방향으로 그려졌습니다. 
<악타 에루디토룸>에서 혼란스러운 점은 방패자리가 '작센 선제후의 칼자리(Gladii Electorales Saxonici)'라는 별자리와 함께 등장한다는 것입니다. 
이 별자리는 독일의 천문학자인 고트프리트 키르케(Gottfried Kirche)가 만든 별자리인데 현대 별자리로는 인정받지 못했습니다.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한글별자리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자리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2. 별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 이름을 우선 사용하였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ISBN-13 : 978-1-931559-44-7, ISBN-10 : 1-931559-44-9)에 제시된 고전 발음에 입각한 별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3.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4.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