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38. 사냥개자리(CANES VENATICI)

2024. 12. 11. 14:40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소유격 표기 : Canum Venaticorum
약어 표기 : CVn
자리 크기 순위 : 38번째
기원 :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가 만든 7개 별자리 중 하나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사냥개자리, 사냥개좌, 엽견좌(獵犬座)

 

 

폴란드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1611~1687)는 1687년, 큰곰자리 꼬리 아래에 흩뿌려진 희미한 별을 모아 사냥개자리를 만들었습니다. 
사냥개자리는 목동자리(BOÖTES)의 목동이 목줄을 잡고 있는 두 마리 사냥개로 그려집니다. 
이 사냥개들이 큰곰(URSA MAJOR)의 발뒤꿈치를 쫓아가는 형상이죠. 

헤벨리우스는 두 마리 사냥개에 각각 아스테리온(Asterion)과 카라(Chara)라는 이름을 붙이고 수컷과 암컷 한 쌍으로 규정했습니다. 

 


그림 1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소비에스키의 창공( Firmamentum Sobiescianum , 1690)에 등장하는 사냥개자리



이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사냥개자리 알파(α)별과 베타(β)별은 모두 남쪽 사냥개인 카라를 장식합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알마게스트에서 이 두 개 별을 큰곰자리의 아모르포토이로 기록하였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형상을 구성하는데 자유롭게 사용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17세기 초,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페트로스 프란키우스(Petrus Plancius, 1552~1622)는 요르단강자리(Jordanus)라는 별자리를 제안한 바 있습니다. 
그 요르단강자리가 사냥개자리에서 시작됩니다. 
헤벨리우스는 프란키우스의 요르단강자리에 세 개 별자리를 채워 넣었습니다. 
그것이 바로 사냥개자리, 작은 사자자리(LEO MINOR), 살쾡이자리(LYNX)입니다.  

하지만 목동이 두 마리 사냥개의 목줄을 쥐고 있는 모습은 헤벨리우스가 만든 게 아닙니다. 

1533년 독일의 천문하자인 페터 아피안(Peter Apian, 1495~1552)이 펴낸 별목록에 보면 목동은 두 마리 개를 뒤쪽으로 거느리고 오른손으로는 목줄을 잡고 있습니다. 

 


그림 2 
두 마리 개가 목동 뒤를 따라가는 이 그림은 페터 아피안이 1533년, 인골슈타트(Ingolstadt)에서 발행한 <일반점성술(Horoscopion Generale)>에 실린 것입니다. 
오른쪽으로는 큰곰자리의 꼬리가 보이고, 목동 바로 아래로는 처녀자리가 보입니다. 

목동이 목줄을 쥔 모습은 대부분의 별지도에서 보이는 것처럼 손을 들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옆쪽으로 자연스럽게 쥐고 있는 모습입니다. 
목동이 왼손에 들고 있는 기다란 지팡이에 보면 사람 얼굴이 새겨져 있는데 페터 아피안 자신의 얼굴을 그려 넣은 것 같습니다.  
가랑이에 보이는 밝은 별은 아르크투루스(Arcturus)입니다. 

이 별지도가 주목을 끄는 이유는 사냥개 말고도 다른 이유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익숙한 그리스 식 형상 말고 아라비아식 그림이 여러 군데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이는 페터 아피안이 확실히 알 수피(Ἁbd al-Raḥmān al-Ṣūfī, 903~986)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페터 아피안은 이후 1536년 2판을 발행했으며, 1540년에는 같은 별지도를 컬러 삽화로 발행하기도 했습니다. 
2판 부터, 목동은 목줄을 왼손에 높이 들고 있으며 사냥개 마릿수도 세 마리로 증가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때까지도 각 사냥개를 어떤 별과 연관시키려는 시도는 없었고, 이름을 정해주려는 시도는 더더욱 없었습니다. 


1602년 네덜란드의 지도제작자인 빌럼 얀손 블라우(Willem Janszoon Blaeu, 1571~1638)가 만든 천구의에서 큰곰의 뒤를 쫓는 두 마리 개가 처음 등장합니다. 
여기서 두 마리 사냥개는 오늘날의 그림과 비슷하게 머리를 같은 방향으로 향하고 있지만  두 마리 사냥개가 차지하는 공간은 헤벨리우스의 그림에서 남쪽 사냥개인 카라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 정도로 작았습니다. 
 
블라우의 그림은 오늘날 사냥개 자리 알파별과 베타별로 알려진 두 개의 밝은 별을 두 마리 개와 연관시키려는 첫 번째 시도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블라우가 최소한 사냥개자리를 만든 장본인이라는 타이틀을 헤벨리우스와 나눠가질 자격이 있는 사람처럼 보입니다. 

사냥개자리 알파별, 코르 카롤리(Cor Caroli)의 의미와 혼란스러운 역사

오늘날 별자리 그림에서 사냥개자리 알파별은 남쪽 개의 목줄에 달려 있는 고리를 상징합니다. 
사냥개자리 알파별의 이름은 코르 카롤리(Cor Caroli)입니다. 
이 이름은 '찰스의 심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1649년 영국의회에 의해 제거된 영국왕 찰스 1세를 기리는 것입니다.   

즉, 코르 카롤리라는 이름은 사냥개자리가 만들어지기 훨씬 전에 만들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다소 혼란스러운 역사가 있습니다. 
  
작가이자 열렬한 왕실주의자였던 에드워드 셔번(Edward Sherburne)은 1675년 발행된 마닐리우스의 저작 번역본에서 코르 카롤리라는 이름이 찰스 2세의 주치의였던 찰스 스카보로프(Charles Scarborough, 1615~1694)경에 의해 명명되었다고 기록했습니다.   

스카보로프가 왜 특정 별에 이런 이름을 지었는지, 그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 별이 북두칠성과 가까이 있는 별이라는 점에서 추정할 수 있는 점은 있습니다. 
당시 영국에서 북두칠성은 '찰스의 마차'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었다는 점입니다. 

코르 카롤리라는 이름이 처음 등장하는 곳은 영국의 지도제작자 프랜시스 램(Francis Lamb)의 책 <Astroscopium(아스트로스코피움), 1673년>에 부록으로 딸린 평면 천구도입니다. 
여기에 'Cor Caroli Regis Martyris' 즉, '순교하신 왕, 찰스의 심장'이라는 표현이 등장하죠. 
찰스는 실제 사형이 집행될 때 자신을 '민중을 위한 순교자'로 선언했다고 합니다. 

이후 에드워드 셔번 뿐 아니라 존 셀러(John Seller)의 별지도(Atlas Caelestis, 1677) 및 존 셀러가 1678년 재발행한 에드먼드 핼리(Edmond Halley)의 별목록 등에 왕관을 두르고 있는 심장이 그려졌습니다. 
큰곰자리와 목동자리, 머리털자리(COMA BERENICES) 사이에 꼭 들어맞는 작은 별자리로 그려졌죠. 

 


그림 3.
런던의 지도 제작자 존 셀러에 의해 재발행된 에드먼드 헬리의 북반구 평면천구도에 등장하는 코르 카롤리(1678).
왕관을 두르고 있는 심장 한 가운데 있는 별이 코르 카롤리입니다. 

 

1844년,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헨리 스미스(William Henry Smyth)는 베드포드 목록(Bedford Catalogue)을 작성하면서 '이 별의 이름은 에드먼드 헬리가 찰스 2세 왕을 기려 명명하였다.'고 기록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스미스가 보데의 별목록을 참조하면서 잘못 안 사실입니다. 

스미스의 설명에 따르면 스카보로프가 1660년 5월 29일 밤, 특별히 밝게 빛나는 이름없는 별을 우연히 목격했다고 합니다. 
우연히도 이 날은 사형당한 찰스 1세의 아들 찰스 2세가 런던으로 돌아와 왕정이 복귀된 날이었습니다. 

스미스는 이 이야기에 대한 일체의 출처를 밝히지 않았습니다. 
또한 사냥개자리 알파별이 갑자기 밝아졌다는 것도 전혀 믿을 수 없는 일입니다. 
즉 이 이야기는 그냥 그럴 듯하게 지어낸 이야기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후 리차드 힌클레이 알렌(R. H. Allen)의 책에 스미스의 이야기가 그대로 실렸습니다. 
알렌의 저작 <Star Names>는 별 이름에 관한한 '고전'으로 평가받는 책입니다. 
따라서 스미스의 잘못된 이야기가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는데 일조하게 됩니다.  

결국 사냥개자리 알파별이 찰스 1세 왕을 기리는 별인지, 찰스 2세 왕을 기리는 것인지 불분명하게 남게 되었지만 에드워드 셔번에 따르면 이 별의 이름 '코르 카롤리'는 분명 찰스 1세 왕에게 헌정된 이름입니다. 
참고로 헬리는 1678년 '찰스의 참나무자리(Robur Carolinum)'라는 별자리를 만들어 찰스 2세를 기리기도 합니다. 
물론 이 별자리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별자리입니다. 

1687년 헤벨리우스가 사냥개자리를 만들 때 헤벨리우스는 문제의 별 코르 카롤리를 사냥개자리에 포함시키긴 했지만 이 별에 일체의 이름을 달지도 않았고 심장을 그리는 등의 영국인들의 복잡한 이야기를 따르지도 않았습니다. 

 

하지만 요한 보데는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에서 남쪽 개의 목줄에 왕관을 두른 심장을 다시 그려넣었습니다. 
그러면서 이 별을 '코르 카롤리 II'라고 명명함으로써 이 별이 찰스 2세 왕을 언급하는 것이라는 실수를 저지르고 맙니다. 

 


그림 4
요한 엘레르트 보데,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에 그려진 사냥개자리.
왕관을 쓴 심장 그림이 사냥개의 목줄에 겹쳐 그려져 있습니다. 

 

결국 사냥개자리 알파별 코르 카롤리는 그 이름에 영국의 정치적 내용이 들어가 있음에도 이름이 그대로 굳어진 별이 되고 말았습니다. 

사냥개 자리의 여러 별과 소용돌이 은하

남쪽 개의 코를 장식하는 사냥개자리 베타별의 이름은 카라(Chara)입니다. 
이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로 '기쁨'을 의미하는 '카라(χαρα)'에서 온 것입니다. 
헤벨리우스는 이 이름을 남쪽 사냥개의 이름으로도 사용했습니다. 

헤벨리우스가 북쪽 사냥개에 준 이름은 '작은 별'이라는 뜻을 가진 아스테리온(Asterion)입니다. 
하지만 북쪽 사냥개의 영역에는 희미한 별들만이 존재합니다. 

보데는 우라노그라피아에서 각 사냥개의 이름은 목줄에 새겨넣었습니다.(그림 4 참고)  

사냥개자리에서 그리스어 알파벳이 할당된 별은 코르 카롤리(α)와 카라(β) 두 개 뿐입니다. 
이는 영국 천문학자 프랜시스 베일리(Francis Baily)가 1845년 영국학술협회 천체목록(British Association Catalogue)에서 처음 할당한 것입니다. 

사냥개자리에서 눈길을 끄는 또 하나의 별은 5등급 별 사냥개자리 Y별입니다. 
이 별은 적색거성이자 변광성으로 가장 붉은 빛을 띠는 별이기도 합니다. 

 

이탈리아의 선구적 분광분석가인 안젤로 세키(Angelo Secchi, 1818~1878)는 1868년, 이 별의 스펙트럼을 '찬란하다(superba)!'라고 묘사했습니다. 
1876년, 아일랜드의 천문학자 존 버밍햄(John Birmingham, 1816~1884)은 안젤로 세키의 이 표현을 그대로 가져와 이 별의 이름을 라 수페르바(La Superba)로 지었고 이 이름이 그대로 이 별의 공식명칭으로 굳어졌습니다. 

사냥개자리에는 그 유명한 나선은하 M51이 있습니다. 
소용돌이(the Whirlpool)라 불리는 은하죠.

M51은 나선 구조가 관측된 첫 번째 은하이기도 합니다. 
아일랜드의 천문학자 로스 경(Lord Rosse, 1800~1867)이 비르성에 있는 1.8미터 반사망원경을 통해 1845년 처음으로 
나선 구조를 관측했습니다. 
로스경은 당시 자신이 관측한 M51의 스케치를 남겼습니다만 발표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추가 관측을 통해 그린 두 번째 버전을 1850년 발표하였습니다.(그림 5)

 


그림 5
1848년 3월, 3대 로스백작 윌리엄 파슨스(William Parsons)가 1.8미터 반사망원경을 이용한 일련의 관측을 통해 그려낸 M51의 나선구조. 
이 그림은 1850년, 영국왕립학회의 자연과학회보(Philosophical Transactions)를 통해 발표되었습니다. 
로스 경이 나선구조를 처음으로 포착한 것은 1845년 4월이었습니다.

  
오늘날은 M51이 충돌을 겪는 거대 은하와 작은 은하, 두 개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M51은 2,500만 광년 거리에 위치합니다.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한글별자리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자리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2. 별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 이름을 우선 사용하였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ISBN-13 : 978-1-931559-44-7, ISBN-10 : 1-931559-44-9)에 제시된 고전 발음에 입각한 별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3.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4.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