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512)
-
NGC 602와 그 너머
20만광년 거리의 위성은하인 소마젤란은하 외곽부에는 5백만 년 정도의 연령을 가진 젊은 성단 NGC 602가 자리잡고 있다. 자신을 벼려낸 가스와 먼지에 둘러싸여 있는 NGC 602가 이 지역을 촬영한 멋진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을 채우고 있다. 이 사진은 허블우주망원경의 사진에 찬드라X선망원경의 데이터 및 스피처우주망원경의 적외선 데이터가 보강된 것이다. 환상적인 우주먼지 덩어리들과 후퇴익형상은 이곳에 강력한 별폭풍이 휘몰아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으며 NGC 602의 갓태어난 무거운 별들이 뿜어내는 충격파는 주변의 먼지가득한 물질들을 깍아내는 한편 새로운 별의 탄생을 촉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소마젤란은하까지의 거리를 고려했을 때 이 사진이 담고 있는 폭은 200광년이다. 또한 허블 망원경이 고해상도로..
2018.08.25 -
샤프리스 249(Sharpless 24))와 해파리성운(the Jellyfish Nebula)
평소에는 희미하고 눈에 잘 보이지 않는 해파리 성운이 매혹적인 망원경 모자이크 사진으로 포착되었다. 쌍둥이자리의 발치 부근에 위치하는 쌍둥이자리 뮤 별과 에타 별에 의해 좌우 양쪽이 고정되어 있는 듯 보인다. 해파리 성운은 늘어뜨린 촉수와 함께 아치를 그리고 있는 머리쪽 능선이 보다 밝게 빛나고 있다. 사실 이 우주의 해파리는 무거운 별이 폭발하면서 팽창하고 있는 파편들의 구름인, 거품 모양의 초신성 잔해 IC 443의 일부다. 이 폭발로부터 발생한 빛이 처음 지구에 닿은 것은 3만년 전이다. 해상 생명체의 이름을 딴 이 성운의 사촌 격인 게성운 초신성 잔해와 마찬가지로 해파리성운 역시 붕괴된 별의 핵인 중성자 별을 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에는 또한 샤프리스 249로 등재된 발광성운이 상단 ..
2018.08.25 -
NGC 253
밝게 빛나는 NGC 253 은하는 가장 밝게 보이는 나선은하들 중 하나이며 우주먼지에 가장 많이 둘러싸여 있는 은하이기도 하다. 작은 망원경으로 보이는 외형으로 인해 이 은하는 '은화 은하(the Silver Dollar Galaxy)'라 불리기도 하며 남반구의 조각실자리 경계부분에 위치한 이유로 '조각실자리은하(the Sculptor Galaxy)'로 불리기도 한다. 1천만 광년 거리에 위치하는 이 먼지가득한 우주섬은 1783년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였던 캐롤라인 허셜(Caroline Herschel)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약 7만광년 지름의 NGC 253은 우리 미리내은하군에서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조각실자리 은하단을 구성하는 가장 거대한 규모의 은하이다. 이 고해상도 사진에서는 나선팔의 먼지 ..
2018.08.25 -
카메라로 담은 오리온자리
이것이 무슨 별자리인지 알아볼 수 있겠는가? 비록 이것은 가장 알아보기 쉬운 패턴을 이루는 별들이기는 하지만 사람의 눈으로는 카메라가 촬영한 이 사진에서처럼 다채로운 각 별의 색깔을 인식하지는 못한다. 이 사진은 20개의 사진을 이어붙인 사진으로서 온도가 낮은 적색거성 베텔게우스가 상단 왼쪽에서 가장 밝은 별로서 강렬한 주황색을 뿜어내고 있다. 오리온자리에는 푸른색의 뜨거운 별들이 많다. 우선 초거성 리겔이 하단 우측에서 베텔게우스와 쌍벽을 이루고 있다. 상단 우측으로는 벨라트릭스가 있고 오리온벨트로 정렬하고 있는 3개 별들이 있다. 이들은 모두 1,500 광년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미 많은 연구가 진행된 오리온자리의 별사이우주공간의 먼지구름에서 탄생했다. 오리온 벨트 아래 보이는 붉고 흐릿한 대역은..
2018.08.25 -
SDSS J1336-0331 은하단
Credit:ESA/Hubble & NASA 흘끔 봤을 때는 뭔가 문제가 있는 렌즈로 촬영한 사진처럼 보이지만 환각의 장면처럼 보이는 뒤틀린 대상들은 우주적 현상이 만들어낸 인상적인 현상을 허블우주망원경에 장착된 WFC3가 담아낸 것이다. 사진 한복판에 보이는 밝은 천체는 SDSS J1336-0331이라는 은하단이다. 거대한 중력으로 영향을 행사하는 이 은하단은 주변의 시공간을 휘어놓으면서 강력한 중력렌즈라고 알려진 효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멀리 뒤쪽에 있는 은하로부터 출발한 빛이 이 지역을 통과하면서 구부러져 환상적인 아치를 만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먼거리에 위치하는 은하를 연구하는데 아주 유용하게 활용된다. 무엇보다도 SDSS J1336-0331은 그 자체로도 흥미로운 대상이다. 이 은하단은 별생..
2018.08.21 -
어린 별 HD 163296 주위에서 발견된 3개 행성
사진 1> ALMA를 이용하여 어린별 HD 163296 주위에 세 개의 어린 행성이 있다는 명백한 증거가 발견되었다. 천문학자들은 첨단 행성 탐사 기술을 이용하여 이 별 주위를 휘감고 있는 가스원반 내에서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고 있는 3개의 물체가 있음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는 ALMA를 이용하여 처음으로 외계행성을 발견한 사례에 해당한다. 이 사진은 특정 파장에서 획득한 ALMA 데이터 셋의 일부를 보여주고 있다. 물질들 가운데 꼬인 흔적이 선명하게 보인다. 이는 행성의 존재를 말해주는 명백한 증거가 된다. ALMA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연구를 진행한 두 연구팀에 의해 태어난지 얼마 안된 별인 HD 163296 주위에 3개의 어린 행성이 공전중임을 말해주는 강력한 증거가 발견되었다. 천문학자들은 첨단 ..
2018.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