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163)
-
헤베스 카스마의 붕괴부
화성의 헤베스 카스마(Hebes Chasma)에 무슨일이 발생했던 것일까? 헤베스 카스마는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마리너리스 협곡 바로 북쪽에 자리잡은 침하지대이다. 침하로 인해서 다른 지표 구조들과는 단절되어 있는 상태인데 그 내부 물질들이 어디로 사라진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헤베스 카스마 내부에는 헤베스 멘사가 자리잡고 있다. 5킬로미터 높이의 멘사 지형에서는 독특하게도 특정 부분의 붕괴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 붕괴현상이 무언가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을른지도 모른다. 이 사진은 현재 화성 궤도를 공전중인 마스 익스프레스 호가 촬영한 것으로 협곡과 메사 중심에 말편자 모양으로 움푹꺼진 특이한 지형을 대단히 세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메사로부터 쏟아져나온 물질들이 협곡의 바닥으로 흘러내려온 모습을 보..
2014.08.12 -
화성 1주년 기념 셀카
6월 24일은 큐리오시티호가 화성에서 화성의 1년을 꼭 채운 날이다. 이 날은 2012년 8월 5일 화성에 도착한 후 지구의 날짜로 687일, 화성의 날짜로 669일째였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자동차 크기의 이 탐사 로봇은 최근 굴착작업 및 샘플 토양의 추출을 진행했던 윈드자나(Windjana)라는 이름의 바위 돌출부 옆에서 셀카 촬영을 위한 포즈를 취하였다. 이 셀카 사진은 지난 4월과 5월 작업장면을 확대촬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큐리오시티호의 로봇팔 끄트머리에 장착되어 있는 마스 핸드 렌즈 이미저(the rover's Mars Hand Lens Imager, MAHLI)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들을 모자이크하여 만들어졌다. MAHLI 사진들에서 MAHLI를 탑제한 팔 부분은 제외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사진..
2014.07.01 -
오퍼튜니티호가 바라본 화성의 아나렘마
오퍼튜니티호가 화성시간으로 1년여 동안, 매 3 화성일 간격으로 화성의 해당 지역에서 오전 11시 02분에 해당하는 시간에 화성의 하늘을 계속 바라보았다. 물론 그 결과는 화성의 아나렘마로서 화성의 1년인 668일동안 하늘에서 태양이 움직이며 만들어내는 궤적을 담고 있다. 지구의 시간으로는 2006년 7월 16일부터 2008년 6월 2일까지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촬영된 사진시 천정을 중심으로 한 어안투사법으로 합성되었다. 북쪽이 상단에 위치하는 파노라마로 표현된 하늘과 땅의 광경은 빅토리아 크레이터 내부에서 2007년 후반에 촬영된 것이다. 화성의 하늘은 태양의 위치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아나렘마의 궤적을 따라 하늘 색을 제거하여 표현되었다. 지구에서의 아나렘마가 8자 형성으로 나타남에 반해 화성의 아..
2014.06.02 -
화성에서 바라본 소행성들
큐리오시티호가 촬영한 사진에서 처음으로 화성 표면에서 바라본 소행성들이 나타났다. 이 두 개 소행성은 각각 세레스와 베스타이다.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 벨트에 존재하는 가장 큰 소행성이며 세 번째로 큰 소행성인 이 들 두 개 소행성은 NASA 던 우주선의 목적지이기도 하다. 던 우주선은 2011년과 2012년 베스타 주위를 공전하며 탐사하였으며 지금은 내년 세레스 도착을 목표로 항해 중에 있다. 세레스는 소행성인 동시에 왜소행성이기도 하다. 세계표준시 기준 2014년 4월 21일, 큐리오시티호의 마스트 카메라가 12초 노출로 촬영한 사진에 세레스와 베스타가 짧고 희미한 궤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냈다. 큐리오시티 카메라 팀의 멤버인 텍사스 A&M 대학 마크 레몬(Mark Lemmon )의 설명은 다음과 같..
2014.05.15 -
마리너 협곡
Image Credit: Viking Project, USGS, NASA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협곡은 화성의 표면을 가로질러 넓은 열곡을 만들어재고 있다. 마리너 협곡이라 이름이 붙여진 이 거대한 계곡은 3천 킬로미터 길이로 뻗어있고, 600킬로미터의 폭을 자랑하며 그 깊이는 8킬로미터에 달한다. 미국 아리조나에 있는 그랜드 캐년의 경우는 길이 800킬로미터, 폭 30킬로미터, 깊이 1.8킬로미터이다. 마리너 협곡의 기원은 여전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장 선구적인 가설은 이 협곡이 수십억년 전 이 행성이 차가와질때 발생한 균열로 시작되었다고 가정하고 있다. 이 협곡에서는 몇몇 지질학적 현상이 식별되기도 했다. 이 사진은 1970년 바이킹 궤도 탐사선이 촬영한 100장 이상의 사진을 모자이크하여 만들어진..
2014.05.12 -
Mt. Remarkable
큐리오시티호가 가로질러온 화성의 이 지형은 무엇일까? 리마커블 산(Mount Remarkable)이라 명명된, 큐리오시티호가 우연히 맞닥드린 이 5미터 높이의 흙무더기는, 큐리오시티호가 최종적으로 도착하게될 5.5킬로미터 높이의 샤프 산을 향하여 여행을 계속하던 중 만나게 되었다.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사암의 밀도를 확신할 수 없어, 지상에 위치한 큐리오시티 운용팀은 리마커블 산의 조사를 위해 주변 암석을 뚫어보도록 큐리오시티호에 지시했다. 전적으로 가능하게도, 고밀도의 사암을 만들어내는데 포함되어 있는 물은 이 행성이 과거에 생명체가 살만했을지를 알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게일 크레이터의 중심부에 특이하게 솟아오른 샤프산은 기저부에서 봉우리에 이르기까지 지구의 에버레스트산과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
2014.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