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163

화성의 결정체

큐리오시티호에 장착된 MAHLI(the Mars Hand Lens Imager)에 의해 모자이크된 후 확대한 이 사진은 5센티미터 폭을 확대한 것이다. 이 사진은 물에 녹아있던 광물의 침전에 의해 형성된 타원형 결정의 형태가 어떻게 보이는지를 촬영한 것으로 이 결정들은 화성 표면에 존재하던 고대의 호수나 강의 증발 결과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먼지 제거기로 빗질을 하고 백색 LED로 비추고 있는 모하비(Mojave)라는 이름의 이 바위는 샤프 산의 기저부에 있는 파럼프 언덕의 핑크 절벽 돌출부에서 발견되었다. MAHLI가 이 사진을 촬영한 것은 큐리오시티호가 화성일 기준 탐사 809일째 되는 날인 2014년 11월 15일이었다. 하단좌측의 1909년 발행된 링컨 센트 사진은 크기의 비교를 위해 삽입된 것..

화성의 물이 어떻게 화성의 지형을 형성시켰는지에 대한 단서를 찾아내다.

사진> 큐리오시티호에 의해 2014년 8월 7일 촬영된, 고른 분포 양상을 보이는 이 퇴적암의 사진은 호수에 물이 흘러든 지점으로부터 그리 멀지않은 호수 바닥에 퇴적된 물질들의 전형적인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화성의 물이 어떻게 화성의 지형을 형성시켰는지에 대한 단서를 찾아내다. NASA 큐리오시티호를 통한 관측 결과는 화성의 샤프산이 수천만년에 걸쳐 거대한 호수 바닥에 퇴적물이 쌓인 결과로 형성되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게일 크레이터에서 큐리오시티의 발견에 대한 분석 결과는 고대의 화성 전역에서 오랜시간에 걸쳐 호수들이 만들어질 수 있을만한 기후를 유지하고 있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NASA 제트추진 연구소의 큐리오시티호 프로젝트 과학자인 아슈윈 바사바다(Ashwin Vasavada)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화성과의 조우 이튿날

1938년 10월 31일은 화성인이 지구를 침략한 다음날이었지만 모든 것이 평온했다. 화성인들의 침략 소식은 그 유명한 허버트 조지 웰스의 공상과학 소설인 우주전쟁을 기반으로 한 할로윈 라디오 드라마의 한 부분으로 밝혀졌다. 2014년 10월 20일은 화성이 사이딩 스프링 혜성의 방문을 받은 다음날이었다. 이것은 장난이 아니고, 정말 이 혜성이 지구와 달 거리의 3분의 1거리인 138,720킬로미터 거리까지 접근했다. 지구에서 화성으로 보낸 우주선들과 지상 정찰 로봇들은 아무런 피해도 입지 않았음을 보고했고 태양계 외곽으로부터 찾아온 이 방문객을 가까이에서 볼 수 있었다. 뱀주인 자리의 별들을 배경으로 2도 영역을 촬영한 이 천연색 망원경 사진은 혜성이 화성을 스쳐 지나간 다음날의 화성을 촬영한 것이다...

화성의 역행운동

왜 화성은 뒤로 움직이는 모습을 보이는 것일까? 대부분의 경우 지구에서 바라본 화성의 겉보기 운동은 한 방향으로 느리게, 그러나 멀리있는 별의 앞쪽을 꾸준히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대략 2년을 주기로 지구가 공전궤도 상에서 화성을 앞지르는 경우가 발생한다. 가장 최근에 이러한 움직임이 지난 해 말부터 시작되었으며 화성은 평소와 같이 크고 밝게 빛나고 있다. 이 기간 중 화성이 마치 뒤로 후퇴하는듯이 보였는데 이 현상을 일컬어 '역행운동'이라 한다. 이 사진은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을 디지털 스텍 처리한 것으로 사진에서 보이듯이 별들은 모두 한자리에 고정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만, 화성은 하늘에서 작은 고리를 그리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이 고리의 중앙 부분에서 지구는 화성을 앞질러갔으며 이때 역행..

화성 파럼프 언덕 근처의 특이한 돌멩이

화성의 이 돌멩이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큐리오시티호가 화성의 파럼프 언덕에 접근했을 때, 독특한 모양의 돌들이 점점이 위치하고 있는 흥미롭고 짜임새있는 광경을 목격하였다. 사진에 보이는 것은 흥미롭게도 원형의 모습을 띠고 있는 지름 2센티미터의 돌멩이이다. 2004년 3월 오퍼튜니티호에 의해 발견되어 '블루베리'라는 이름이 붙은 수많은 소구체보다 크기가 큰 버전인듯 보이는 이 돌들이 어떻게 해서 이와 같은 구형을 띠게 되었는지는 여전히 알 수 없는 상태이다. 이러한 모습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으로는 흐르는 물에 자주 잠겼거나, 화산 분출시 녹은 상태로 쏟아져나온 돌멩이, 또는 응결 메카니즘에 의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며칠 뒤에 촬영된 네모 박스의 사진은 또 다른 작고 특이한 형태의 돌멩이를 보여..

메이븐(MAVEN)호가 촬영한 화성의 상층 대기

2013년 11월 18일에 발사된 메이븐 호(화성의 대기와 급격한 변화양상 탐지위성, Mars Atmosphere and Volatile EvolutioN)가 2014년 9월 21일 행성 간 항해를 마치고 화성 주위를 타원형 궤도로 공전하면서 광대역 사진을 촬영하였다. 메이븐 호의 자외선 분광촬영기를 이용한 화성 상층 대기에 대한 탐사 계획은 이미 시작되었으며, 이 사진은 36,500킬로미터 상공에서 촬영된 것이다. 인위적인 색깔로 처리된 이 세 개의 자외선 파장 대역 사진은 각각 수소원자(파란색)와 산소원자(초록색) 그리고 화성의 표면(붉은색)에서 반사된 빛을 보여주고 있다. 질량이 낮은 수소 원자는 우주공간으로 수천킬로미터까지 펼쳐져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보다 무거운 산소원자의 구름은 화성의 ..

헤베스 카스마의 붕괴부

화성의 헤베스 카스마(Hebes Chasma)에 무슨일이 발생했던 것일까? 헤베스 카스마는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마리너리스 협곡 바로 북쪽에 자리잡은 침하지대이다. 침하로 인해서 다른 지표 구조들과는 단절되어 있는 상태인데 그 내부 물질들이 어디로 사라진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헤베스 카스마 내부에는 헤베스 멘사가 자리잡고 있다. 5킬로미터 높이의 멘사 지형에서는 독특하게도 특정 부분의 붕괴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 붕괴현상이 무언가 단서를 제공해 줄 수 있을른지도 모른다. 이 사진은 현재 화성 궤도를 공전중인 마스 익스프레스 호가 촬영한 것으로 협곡과 메사 중심에 말편자 모양으로 움푹꺼진 특이한 지형을 대단히 세부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메사로부터 쏟아져나온 물질들이 협곡의 바닥으로 흘러내려온 모습을 보..

화성 1주년 기념 셀카

6월 24일은 큐리오시티호가 화성에서 화성의 1년을 꼭 채운 날이다. 이 날은 2012년 8월 5일 화성에 도착한 후 지구의 날짜로 687일, 화성의 날짜로 669일째였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자동차 크기의 이 탐사 로봇은 최근 굴착작업 및 샘플 토양의 추출을 진행했던 윈드자나(Windjana)라는 이름의 바위 돌출부 옆에서 셀카 촬영을 위한 포즈를 취하였다. 이 셀카 사진은 지난 4월과 5월 작업장면을 확대촬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큐리오시티호의 로봇팔 끄트머리에 장착되어 있는 마스 핸드 렌즈 이미저(the rover's Mars Hand Lens Imager, MAHLI)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들을 모자이크하여 만들어졌다. MAHLI 사진들에서 MAHLI를 탑제한 팔 부분은 제외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사진..

오퍼튜니티호가 바라본 화성의 아나렘마

오퍼튜니티호가 화성시간으로 1년여 동안, 매 3 화성일 간격으로 화성의 해당 지역에서 오전 11시 02분에 해당하는 시간에 화성의 하늘을 계속 바라보았다. 물론 그 결과는 화성의 아나렘마로서 화성의 1년인 668일동안 하늘에서 태양이 움직이며 만들어내는 궤적을 담고 있다. 지구의 시간으로는 2006년 7월 16일부터 2008년 6월 2일까지에 해당하는 기간동안 촬영된 사진시 천정을 중심으로 한 어안투사법으로 합성되었다. 북쪽이 상단에 위치하는 파노라마로 표현된 하늘과 땅의 광경은 빅토리아 크레이터 내부에서 2007년 후반에 촬영된 것이다. 화성의 하늘은 태양의 위치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아나렘마의 궤적을 따라 하늘 색을 제거하여 표현되었다. 지구에서의 아나렘마가 8자 형성으로 나타남에 반해 화성의 아..

화성에서 바라본 소행성들

큐리오시티호가 촬영한 사진에서 처음으로 화성 표면에서 바라본 소행성들이 나타났다. 이 두 개 소행성은 각각 세레스와 베스타이다.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 벨트에 존재하는 가장 큰 소행성이며 세 번째로 큰 소행성인 이 들 두 개 소행성은 NASA 던 우주선의 목적지이기도 하다. 던 우주선은 2011년과 2012년 베스타 주위를 공전하며 탐사하였으며 지금은 내년 세레스 도착을 목표로 항해 중에 있다. 세레스는 소행성인 동시에 왜소행성이기도 하다. 세계표준시 기준 2014년 4월 21일, 큐리오시티호의 마스트 카메라가 12초 노출로 촬영한 사진에 세레스와 베스타가 짧고 희미한 궤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냈다. 큐리오시티 카메라 팀의 멤버인 텍사스 A&M 대학 마크 레몬(Mark Lemmon )의 설명은 다음과 같..

카테고리 없음 201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