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 24. 12:12ㆍ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소유격 표기 : Cephei
약어 표기 : Cep
자리 크기 순위 : 27번째.
기원 : 프톨레마이오스가 알마게스트에 기록한 48개 별자리 중 하나
그리스어 표기 : Κηφεύς (케페우스)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케페우스, 케페우스자리
그림 1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1603)에 그려진 케페우스자리 |
케페우스는 제우스가 사랑했던 님프 이오의 넷째 아들입니다.
신화상의 인물인 케페우스는 에티오피아를 다스린 왕입니다.
그런데 케페우스의 에티오피아는 우리가 알고 있는 오늘날의 그 에티오피아가 아닙니다.
이 나라는 지중해 남동쪽에서 시작되어 남쪽으로 홍해에 이르는 지역을 차지하던 국가였습니다.
오늘날 이스라엘과 요르단, 이집트 일부가 포함되는 지역입니다.
케페우스는 카시오페이아와 결혼했습니다. 그리고 그의 왕국은 카시오페이아의 허영심을 징벌하기 위해 포세이돈이 보낸 바다괴물의 공격을 받아 황폐해졌습니다. 케페우스는 암몬의 신탁을 받아 딸 안드로메다를 희생제물로 바위에 묶어두었습니다. 다행히 안드로메다는 페르세우스에 의해 구출되고 페르세우스는 안드로메다를 신부로 맞아 케페우스의 사위가 됩니다.
케페우스는 딸의 결혼식을 위해 성대한 축하파티를 열었습니다. 하지만 안드로메다는 이미 케페우스의 동생인 피네우스(Phineus)와 약혼한 사이였습니다. 축하연이 한창일 때 피네우스와 부하들이 들이닥쳤습니다. 이들은 안드로메다를 넘겨줄 것을 요구하죠. 하지만 케페우스는 이들의 요구를 거절하였습니다.
오비디우스(Ovid, 43BC~17AD)는 <변신이야기(Metamorphoses)> 5장에서 이때 벌어진 피비린내 나는 전투를 자세히 묘사하였습니다. 케페우스는 나는 최선을 다했다고 중얼거리며 자리를 떴지만 페르세우스는 고르곤의 머리를 치켜들어 적들을 돌로 만들어버렸습니다.
하늘에서 케페우스자리는 카시오페이아자리(CASSIOPEIA) 바로 옆에 있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케페우스를 티아라(tiara) 비슷한 왕관을 두른 페르시아의 왕으로 묘사했습니다. 그의 발은 거의 북극점까지 뻗어있습니다. 케페우스는 매일밤 북극점 주위를 돕니다. 그리스가 위치한 위도에서 봤을 때 고도가 가장 낮을 때의 케페우스는 머리를 바다에 박으며 아내의 허영심 때문에 고통받는 것처럼 보였을 것입니다.
|
그림 2 프톨레마이오스의 묘사를 충실히 따르고 있는 마쉬 144(Marsh 144, 10C추정)에 그려진 케페우스자리 |
케페우스자리의 별
케페우스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2.5등급의 케페우스자리 알파(α)별이며 이름은 알데라민(Alderamin)입니다.
이 별은 케페우스의 오른쪽 어깨를 장식하고 있습니다.
아라비아 별이름 전문가인 파울 쿠니츠쉬(Paul Kunitzsch)에 따르면 이 이름은 아라비아어로 '팔뚝'을 의미하는 al-dhirā’ain(알 디라아인)에서 유래한 것이며 중세시대 유럽 천문학자들이 위치를 잘못 적용한 것이라 합니다.
|
그림 3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소비에스키의 창공( Firmamentum Sobiescianum , 1690)의 케페우스자리 |
케페우스자리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별은 바로 델타(δ)별입니다.
맥동초거성인 이 별은 5.4일 주기의 밝기 변화가 나타나는 별입니다.
바로 이 별이 케페우스형 변광성의 전형이 된 별로서 케페우스형 변광성은 오늘날의 천문학자들이 천체의 거리를 재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케페우스자리 델타별이 변광한다는 사실은 1784년 영국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존 구드릭(John Goodricke, 1764~1786)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이 별을 '티아라의 뒤편에 있는 별'이라고 묘사하였는데 여기서 '뒤편'이란 뒤통수가 아니라 하늘이 순환할 때 뒤따라오는 쪽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이 별에 델타( δ )를 처음 붙인 요한 바이어(Johann Bayer, 1572~1625)는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1603)에서 이 별을 케페우스의 이마에 놓았습니다. (그림 1)
반면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1646~1719)와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는 프톨레마이오스의 묘사를 따랐습니다. 심지어 구드릭의 발견을 알고 있었던 보데는 델타별에 '밝기가 변하는(variabilis)'이라는 표기까지 달았습니다.
|
그림 4 존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아틀라스 꾈레스티스(Atlas Coelestis, 1729)의 케페우스자리 페르시아 풍의 관복과 왕관을 쓰고 왼손에는 왕홀을 들고 있습니다. |
델타별의 반대쪽, 즉, 프톨레마이오스의 묘사에 따르자면, '티아라에서 앞서 가는 쪽'이며 케페우스의 뒤통수 쪽에 있는 별 역시 유명한 별입니다.
케페우스자리 뮤(μ)별인 이 별을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 1738~1822)은 '선명하고 깊은 석류색을 띤' 별이라고 묘사하였습니다.(1783)
주세페 피아치(Giuseppe Piazzi, 1746~1826)는 1803년 팔레르모 천체목록(Palermo Catalogue)에서 역시 이 별의 깊고 붉은 색을 '어두운 루비색'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오늘날 이 별의 공식 명칭은 석류석별(the Garnet Star)입니다.
석류석 별 역시 밝기가 변하는 별인데 이 사실은 영국천문학자 존 러셀 하인드(John Russell Hind, 1823~1895)가 처음으로 발견하였습니다. 이 별은 3.4등급에서 5.1등급 사이의 밝기 변화를 보이는 별입니다.
|
그림 5 요한 엘레르트 보데,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의 케페우스자리 |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한글별자리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자리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2. 별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 이름을 우선 사용하였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ISBN-13 : 978-1-931559-44-7, ISBN-10 : 1-931559-44-9)에 제시된 고전 발음에 입각한 별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3.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4.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
'2. 별자리 이야기 > STAR TA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73. 큰개자리(CANIS MAJOR) (0) | 2025.01.28 |
---|---|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72. 켄타우루스자리(CENTAURUS) (1) | 2025.01.25 |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70. 컵자리(CRATER) (1) | 2025.01.23 |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69. 컴퍼스자리(CIRCINUS) (0) | 2025.01.22 |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68. 카시오페이아자리(CASSIOPEIA)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