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79. 팔분의자리(OCTANS)

2025. 2. 3. 12:46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소유격 표기 : Octantis
약어 표기 : Oct
별자리 크기 순위 : 50번째.
기원 : 라카유가 만든 14개 남반구 별자리 중 하나.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팔분의자리

팔분의자리는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 1713~1762)가 1750년대에 소개한 14개 남반구 별자리 중 하나입니다. 
이 별자리는 이중반사팔분의(reflecting octant)라고도 불리는, 존 해들리(John Hadley, 1682~1744)가 1730년에 발명한 항법기구를 상징합니다. 

라카유는 1756년 발행된 평면천구도 초판에서 이 별자리의 이름을 'l’Octans de Reflexion'이라는 프랑스어로 기재하였습니다. 이후 1763년 발행된 재판에서는 이름을 라틴어로 바꾸어 간략하게 'OCTANS(옥탄스)'로 표기했습니다. 

라카유는 팔분의를 '항해사가 사용하는 주요 관측 기구로서 극점의 고도를 측정하는데 사용한다'라고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목적에 딱 걸맞게도 팔분의자리는 천구의 남극점을 감싸고 있는 별자리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특이점에도 불구하고 4등급보다 밝은 별은 없는 어두운 별자리입니다. 

라카유는 이전에 네덜란드 항해가들이 16세기 말에 만들어 놓은 두 개 별자리, 즉 물뱀자리(HYDRUS)극락조자리(APUS)의 별을 이용하여 팔분의자리를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남극점 주위 하늘의 별자리를 재편해야 했죠.  

팔분의는 45도 아치, 즉 원을 8분할한 원호로 만들어진 기구입니다. 
팔분의라는 이름은 여기서 유래한 것입니다. 

 

항해가는 팔분의에 달린 망원경으로 수평선을 바라보면서, 인덱스 거울에 반사된 태양 또는 별이 수평선 면과 겹치도록 회전축을 움직여 맞춤으로써 고도를 측정합니다. 
후에 이 기구는 1/8 원호에서 1/6원호로 확대되면서 오늘날 주로 사용되는 육분의의 전초가 되었습니다. 


그림 1
요한 엘레르트 보데,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 20장에 그려진 팔분의자리



팔분의자리의 별과 천구의 남극점

남반구에는 북극성처럼 극점을 지시하는 별이 없습니다. 
그나마 팔분의자리 시그마(σ)별이 천구의 남극점에 가장 가까운 별입니다. 
하지만 이 별의 밝기는 5.4등급으로 맨눈으로 볼 수는 있지만 그다지 밝은 별도 아니고 극점에서 1도나 떨어져 있습니다. 
라카유는 별목록에서 이 별에 시그마를 할당하긴 했지만 별지도에는 따로 표기하지 않았습니다. 

 


그림2

팔분의자리는 실제 별의 배치와는 아무 상관없이 그려진 별자리입니다. 
딱 하나 팔분의자리 에타(η)별만 예외라 할 수 있는데 6.2등급의 이 별은 팔분의의 회전축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북극성에 대응되는 남극성이라 할 수 있는 별은 팔분의자리 시그마(σ)별입니다. 
하지만 이 별의 밝기는 5.4등급 밖에 되지 않으며 이 별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라카유는 별지도에 시그마 라벨을 표기도 하지 않았습니다. 

팔분의자리 시그마별은 아래 작은 망원경 가까이에서 삼각형을 구성하는 세 별 중 가장 오른쪽에 있는 별입니다. 

이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라카유는 별자리를 만들때 별의 패턴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그저 당시에 자랑할만한 과학도구나 예술도구를 하늘에 새겨 이를 기념한다는 의미에만 충실했던 것입니다. 

이 그림은 장 포르텡( Jean-Baptiste Fortin )의 <아틀라스 셀레스테(Atlas Celeste)>에 실린 그림으로서 라카유의 원래 그림을 그대로 표현한 것입니다. 

 

지금 남반구의 극점은 팔분의자리 시그마별에서 더 멀어져 텅 빈 지역으로 이동한 상태입니다.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로서 그 다음으로 남극점에 가까이 접근하게 될 별은 5.5등급의 팔분의자리 요타(ι)별입니다. 
이 별은 2,800년 쯤에 1.5도까지 접근할 예정입니다. 

 

팔분의자리는 알파별이 가장 밝은 별이 아닌 경우에 속하는 별자리입니다. 
팔분의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3.7등급의 팔분의자리 뉴(ν)별입니다. 

팔분의자리 알파(α)별의 밝기는 5.2등급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모든 별자리 중 가장 어두운 알파별을 가진 별자리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그 다음으로 어두운 알파별을 가진 별자리는 테이블산자리(MENSA)입니다.
테이블산자리 알파별은 5.1등급으로 0.1등급 차이밖에 나지 않으므로 그 편차가 그리 크지는 않습니다.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한글별자리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자리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2. 별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 이름을 우선 사용하였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ISBN-13 : 978-1-931559-44-7, ISBN-10 : 1-931559-44-9)에 제시된 고전 발음에 입각한 별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3.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4.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