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쪽 높은 하늘에 자리잡았던 메시에자리는 프랑스 천문학자 조제프-제롬 르프랑수아 드 랄랑드(Joseph Jerome de Lalande , 1732~1807)가 1775년, 자신이 만든 천구의를 통해 소개한 별자리입니다.
랄랑드는 이 천구의에 부록으로 제공된 <새로운 천구의와 지구의에 대한 설명(Explication des nouveaux globes celeste et terrestre)>에 이 별자리에 대한 설명을 기록했습니다.
![]() |
그림 1 요한 엘레르트 보데,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 3장 전체 모습 북극성을 중심으로 작은곰자리 반대편, 케페우스자리와 기린자리 사이에 지금은 사라진 별자리인 메시에자리와 순록자리가 있습니다. |
이 별자리의 라틴어 이름인 '쿠스토스 메시움(Custos Messium)'은 '추수밭의 파수꾼'이라는 뜻인데 이 이름은 사실 당대 혜성 사냥꾼으로 유명했던 샤를 메시에(Charles Messier, 1730~1817)의 이름을 동음이의어로 표현한 것입니다.
즉, 이 별자리는 바로 샤를 메시에를 기리는 별자리였던 것입니다.
그래서 당시 프랑스에서 이 별자리는 간단하게 '메시에(Messier)'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메시에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4등급으로서 오늘날 기준으로 카시오페이아자리 50별입니다.
메시에자리는 케페우스자리(CEPHEUS)와 기린자리(CAMELOPARDALIS)사이에 있었던 별자리입니다.
지금의 카시오페이아자리(CASSIOPEIA) 북쪽이며 역시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별자리인 순록자리(Rangifer)와 이웃하고 있는 별자리였습니다.
랄랑드가 메시에자리의 위치를 이곳에 놓은 이유는 1774년의 첫 번째 혜성이 이곳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이 혜성은 C/1774 P1으로 등재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C/1774 P1 혜성은 메시에가 아닌 자크 리바 몽테뉴(Jacques Laibats Montaigne, 1716~1788)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영국의 과학자 토마스 영(Thomas Young, 1773~1829)은 1807년 발행한 <자연철학과 기계예술에 대한 강의(A Course of Lectures on Natural Philosophy and the Mechanical Arts)>의 북반구 별목록에서 이 별자리의 이름을 '포도밭의 파수꾼(the Vineyard Keeper)'으로 바꾸었습니다.
이름까지 이렇게 바뀌고보니 뜻이 더 모호해져서인지 이 별자리는 널리 퍼지지 못하고 이내 곧 잊혀지고 말았습니다.
![]() |
그림 2 요한 보데의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 3장에 등장하는 메시에자리의 모습. (그림 1 확대) 랄랑드가 의도했던 '샤를 메시에'가 아닌 말 그대로 '파수꾼' 비슷한 모습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공식 88개 별자리에 해당하는 별자리는 라틴어 철자를 대문자로 표기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대소문자 혼용으로 표기하였습니다.
2.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3.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
'2. 별자리 이야기 > STAR TAL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5. 브란덴부르크의 왕홀자리(Sceptrum Brandenburgicum) (0) | 2025.02.23 |
---|---|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4. 북쪽파리자리(Musca Borealis) (0) | 2025.02.22 |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2. 마이날로스산자리(Mons Maenalus) (0) | 2025.02.20 |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1. 고양이자리(Felis) (0) | 2025.02.19 |
STAR TALES 4장 - 사라진 별자리 (0) | 2025.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