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n 180

아폴로 11호 : 태양을 담다

밝은 태양빛과 검고 긴 그림자가 달표면에서 촬영한 사진에 담겨 있다. 이 사진은 1969년 7월 20일 처음으로 달에 발을 디딘 아폴로 11호 승무원 닐 암스트롱(Neil Armstrong)에 의해 촬영되었다. 이 사진에는 달 착륙선인 이글호와 함께 우주복을 입은 달착륙선의 조종사 버즈 알드린(Buzz Aldrin)이 태양풍 조성 분석기로 알려져 있는 기다란 은박지를 펼치는 모습이 담겨있다. 이것을 태양쪽을 향해 열면 태양풍을 통해 쏟아져나온 입자들이 담기게 되고 그 결과 태양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질의 샘플을 얻게 되는 것이다. 태양풍 수집기는 지구의 연구실에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월석 및 달의 토양 샘플과 함께 지구로 귀환했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7년 7월 22일 자) http..

피사 위의 천둥달

사진이 뭔가 잘못 촬영된 것일까? 사실을 알게 된다면 이 사진이 어디서 촬영된 것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사진에 담긴 건물중 하나는 실제 괴상하게 놓여있다. 그것은 기울어져 있는 것이다. 1173년 공사가 시작되고 얼마 되지 않았을 때부터 피사의 이 기울어진 탑은 하나의 전설이 되었다. 지금은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한 이곳은 갈릴레오가 서로 다른 질량을 가진 물체가 동시에 떨어진다는 중력원리를 시연하기 위해 이 기울어진 탑을 이용했다는 전승도 가지고 있다. 오른쪽의 피사의 사탑과 왼쪽의 피사 대성당 및 세례당 사이로 7월의 보름달인 “천둥”달이 자리잡은 모습이 지난 주 촬영되었다. 현대의 기술을 이용한 분석에 따르면 피사의 사탑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예상밖의 사고만 없다면 향후 200..

7월의 보름달과 보스턴 등대

철저한 계획 하에 촬영된 이 사진에는 메사추세츠 보스턴 항 외곽을 가로지르며 떠오르는 7월의 보름달이 담겨있다. 앞쪽으로는 역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보스턴 등대의 불빛이 보인다. 7월의 보름달을 어떤 곳에서는 천둥달이라고 부른다. 이 이름에는 대개 폭풍이 자주 발생하는 북반구의 여름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떠오르는 달을 잡아낸 이 동영상에서 동쪽 하늘은 청명하기만 하다. 지평선 근처에서 길게 퍼져 있는 대기층이 달빛을 굴절시키는 필터 역할을 하면서 떠오르는 달을 붉은 색으로 만드는 한편 너덜너덜 헤진듯한 모서리와 일그러진 형태를 만들어내는 원인이 되고 있다. Full Moon and Boston Light from Babak Tafreshi on Vimeo.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

아폴로 17호가 착륙한 VIP 사이트

빨간색과 파란색의 셀로판지를 붙인 입체안경을 끼고 달의 타우루스-리트로우 계곡에서 촬영한 이 입체 사진을 감상해보라. 이 사진은 달의 언덕을 배경으로 아폴로 17호의 월면차와 착륙선이 자리잡은 모습을 세밀한 입체영상으로 보여주고 있다. 당시 인류는 월면차에 설치된 TV 카메라를 통해 발사대에서 날아오르는 달착륙선을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이 지역은 VIP 사이트로 알려져 있다. 1972년 12월, 아폴로 17호의 승무원인 유진 서넌(Eugene Cernan)과 헤리슨 슈미트 (Harrison Schmitt)는 달에서 75시간을 보냈고 같은 시간 로널드 에반스(Ronald Evans)는 궤도선을 지키고 있었다. 이들은 이전의 다른 달 착륙지역에서보다 훨씬 더 많은 양인 110킬로그램의 암석과 토양 샘플을 가..

달과 수성, 여명의 전파빛통

Image Credit & Copyright: Pierluigi Giacobazzi 9월 29일, 여명의 황혼을 달과 함께 나누고 있는 수성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멀리까지 나와 있었다. 태양계에서 가장 안쪽에 자리잡고 있는 이 행성이 행성 지구의 하늘에서 최대이각에 가까이 접근한 것이다. 이 다채로운 풍경에는 히늘을 떠가는 수성이 기울어가는 그믐달 및 지구의 빛을 받아 엷게 보이는 달의 야간반구와 함께 담겨 있다. 새로운 달이 옛 달의 팔에 안겨있는 듯 보인다. 그 아래로는 볼로냐 근처의 이탈리아 메디치나 전파천문대가 32미터 직경의 파라볼릭 안테나와 "북반구의 십자가"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탈리아의 첫번째 전파빛통배열 안테나들의 낮은 줄과 함께 담겨있다. 물론 달을 관측하는 이들은 10월 8일에는 아침 ..

브르노 상공의 보름달

2016년 7월 20일, 해가 진후 거대한 보름달이 체코 공화국 브르노 시 위에 떠올랐다. 이 파노라마 사진은 아폴로 11호의 달착륙 47주년을 기념하는 동안 촬영된 것이다. 일련의 사진 촬영을 통해 희미하게 빛을 잃어가는 여명과 이와는 달리 노란색 색조를 뿜어내는 달과 환한 빛을 반사해내고 있는 14세기 스필버크 고성의 모습이 포착되었다. 물론 오늘밤의 보름달은 추수달(the Harvest Moon)이라 부른다. 북반구의 추분점에 가장 가깝게 다가간 보름달을 말하는 이 전통적인 이름은 오랫동안 이야기와 노래를 통해 기념되어왔다. 오늘밤의 보름달은 또한 지구가 만들어내는 희미한 바깥쪽 그림자를 통과하면서 미묘한 색감의 반영식을 함께 만들어낼 것이다. 출처 : NASA - 오늘의 천체사진(2016년 9월 ..

파노라마 사진으로 담아낸 아폴로 15호

1971년 7월 31일, 아폴로 15호의 우주비행사인 짐 어윈(Jim Irwin)과 데이브 스콧(Dave Scott)은 달에서 처음으로 월면차를 전개하였다. 짐과 데이브는 월면차를 이용하여 거의 3일 동안 헤들리-아페니노 착륙 지역을 탐험하였고, 이 기간동안 알 워든( Al Worden)은 달 궤도 상에 머물러 있었다. 디지털 이어붙이기를 한 이 파노라마 사진에는 3.5킬로미터 높이의 헤들리 델타 산맥의 경사면에서 바위덩어리를 검사하고 있는 스콧의 모습과 함께 왼쪽으로는 전기로 구동되는 4륜 구동 월면차의 모습이 함께 담겨 있다. 태양을 등지고 선 어윈의 검은 그림자가 월면차의 오른쪽으로 뻗어있다. 이 파노라마 사진은 오른쪽으로 하들리 릴과 달 위로 떠 있는 태양방향까지 뻗어있으며 거칠고 전혀 여과되지 ..

딸기 달에서 꿀의 달로.

Image Credit & Copyright: Trevor Mahlmann 지평선 근처의 보름달은 그 유명한 달 착시 현상에 의해 좀더 크고 부풀어 오른 듯이 보인다. 그러나 연속으로 촬영한 이 일련의 사진은 달의 겉보기 크기가 천정으로 향해 올라갈 때 전혀 변화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색깔은 다르다. 매 10초 간격으로 촬영된 이 사진에서 달의 모습은 그 색깔이 얼마나 드라마틱하게 변하는지를 말해주고 있다. 이 합성 사진은 인디애나 북서부의 지평선 위로 하지의 보름달이 떠오르는 모습을 쫓아가고 있다. 행성 지구의 두껍고 먼지가득한 대기를 통해 보이는 시선에서 점차 벗어나면서 딸기와 같은 붉은 색을 띤 달빛은 꿀 색깔을 지나 좀더 창백한 노란빛의 달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북반구에서 딸..

서베이어 1호의 그림자

50년 전, 서베이어 1호가 달에 도착했다. 서베이어 1호는 1966년 5월 30일 발사되어 1966년 6월 2일 보름달을 맞는 달에 착륙함으로서 지구가 아닌 다른 세계에 연착륙한 최초의 미국 우주선이 되었다. 아폴로 호의 착륙을 준비하기 위하여 달 지형을 점검할 목적으로 수행된 총 7번의 서베이어 임무 중 첫번째 임무였던 서베이어 1호는 6월 14일 달에서 해가 지기 전까지 총 1만 장이 넘는 사진을 전송했다. 그리고 7월 13일 달에서 두 번째 밤을 맞기 전까지 총 11,000 장이 넘는 사진을 보내왔다. 서베이어 1호는 1967년 1월 7일까지 달 표면에서 지속적으로 신호를 보내왔다. 2009년 달 궤도 탐사위성(the Lunar Reconnaissance Orbiter, LRO)에서 촬영된 서베이..

감마선으로 촬영한 달

만약 당신이 가시광선보다 십억배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광자로 구성된 감마선을 볼 수 있었다면 달이 태양보다 훨씬 더 밝게 빛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놀랄만한 생각이 달을 촬영한 이 독특한 사진을 찍은 이유가 되었다. 이 사진은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의 LAT 장비를 이용하여 처음 운용이 시작되고 7년 간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든 것이다. 페르미 감마선 사진은 달표면의 세세한 모습을 구분해 주지는 않는다. 그러나 감마선 빛은 인위적인 색깔을 입힌 이 사진의 중앙에서 달의 크기와 위치를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가장 밝은 부분은 달에서 감마선이 가장 상당하게 감지된 부분이다. 왜 감마선으로 본 달은 이처럼 밝게 보이는걸까? 우주빛줄기로 알려져 있는, 태양계를 휘젖고 다니는 고에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