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57. 작은곰자리(URSA MINOR)

2025. 1. 7. 16:02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소유격 표기 : Ursae Minoris
약어 표기 : UMi
별자리 크기 순위 : 56번째
기원 : 프톨레마이오스가 알마게스트에 기록한 48개 별자리 중 하나. 
그리스어 표기 : Àρκτος Μικρά (아르크토스 미크라)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작은곰자리, 작은곰, 작은곰좌, 소웅궁(小熊宮), 소웅성좌(小熊星座), 소웅좌(小熊座)

 


그림 1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1603)에 그려진 작은곰자리

 

고대 그리스인들은 작은곰자리에 처음 이름을 지은 사람을 밀레투스의 탈레스(Thales. 625BC ~ 545BC)로 생각했습니다. 
탈레스를 처음 언급한 사람은 기원전 3세기의 시인 칼리마코스(Callimachus)였던 것 같습니다. 그는 '탈레스가 패니키아인들의 배를 이용하여 마차의 작은 별을 측정했다.'는 기록을 남겼습니다. 

탈레스보다 2세기 이전 사람이었던 호메로스(Homer)는 작은곰자리를 몰랐던 것이 확실합니다. 큰곰자리(URSA MAJOR)는 언급했지만 이에 대응되는 별자리인 작은곰자리는 단 한 번도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탈레스가 작은곰자리를 만든 사람인지, 아니면 그저 이 별자리를 소개한 사람인지는 확실치 않습니다. 하지만 평판에 따르면 탈레스는 페니키아인의 후손이었고,  칼리마코스는 페니키아인들이 항해를 할 때 길잡이별로 큰곰자리보다는 작은곰자리를 선호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칼리마코스와 동시대에 살았던 아라토스(Aratus, 315~243BC)는 작은곰자리가 큰곰자리보다 크기도 작고 희미하지만 북극점에 가까이 있다는 것 때문에 진북을 알려주는 훨씬 나은 지표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 276~194BC)는 그리스인들이 작은곰자리를 포이니케(Φοινίκη)로 부른다고 했습니다. 
놀랍게도 포이니케는 '페니키아인'이라는 뜻입니다. 

밤하늘에서 큰곰과 작은곰은 서로 등을 마주 댄채, 반대방향을 향해 움직입니다. 그 사이를 용자리(DRACO)가 가르고 있죠. 

아라토스는 두 마리 곰이 하늘에 좌정한 것은 크레타섬의 딕테 동굴에서 갓 태어난 아기 제우스를 돌 본 두 명의 님프를 기리기 위해서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 두 명의 님프가 왜 곰의 형상으로 기려지는지에 대해서는 어떠한 설명도 하지 않았습니다. 
한편 아폴로도로스(Apollodorus)는 제우스를 돌 본 두 님프가 아드라스테이아(Adrasteia)와 이다(Ida)라고 소개하며 연장자인 아드라스테이아가 큰곰자리, 이다가 작은곰자리로 헌정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아라토스는 작은곰자리를 퀴노수라(Κυνόσουρα)라고 불렀습니다.
이 이름은 지금까지 이야기한 곰과는 전혀 상관없는 엉뚱한 뜻으로 '개의 꼬리'라는 뜻입니다. 
퀴노수라(Κυνόσουρα) 는 영어로 '길잡이 별'을 의미하는 'cynosure'의 어원이기도 한데 티코 브라헤(Tycho Brahe, 1546~1601)가 자신의 별목을 발행한 1602년까지 작은곰자리의 별칭으로 사용된 단어이기도 합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알마게스트에서 작은곰자리를 Àρκτος Μικρά(아르크토스 미크라)'라는 이름으로 소개했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작은곰자리의 형태를 구성하는 별로 일곱 개 별을 기록했습니다. 
네 개는 몸통을, 그리고 세 개는 꼬리를 구성하는 별로 보았습니다. 
오늘날 작은곰자리 5별로 불리는 여덟 번째 별이 작은곰자리의 별로 기록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 별은 아모르포토이( αμορφωτοἰ )입니다. 

 


그림 2
프톨레마이오스의 묘사를 충실히 따르고 있는 마쉬 144(Marsh 144, 10C추정)에 그려진 작은곰자리



작은곰자리 일곱 개 별이 만드는 형상은 큰곰자리와 비슷한 국자 모양입니다. 
그래서 작은곰자리는 작은 국자(the Little Dipper)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작은곰의 꼬리 끝에 있는 별이 작은곰자리 알파(α)별입니다. 라틴어로 폴라리스(Polaris), 즉 북극성으로 알려진 별입니다. 
현재 이 별은 천구의 북극에 가장 가까이 있는 밝은 별입니다. 하지만 이 별이 영원히 북극점에 가까이 있을 별은 아닙니다. 

북극성과 천구의 북극

프톨레마이오스가 살았던 2세기에 천구의 북극 근처에는 밝은 별이 없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북극성은 극점에서 무려 11도나 떨어져 있었죠.  오히려 작은곰자리 베타(β)별 코캐브(Kochab)가 2도 정도 더 가까웠습니다. 이후 수 세기 동안의 세차운동으로 오늘날 천구의 북극에 가장 가까운 별은 작은곰자리 알파별이 되었습니다. 

독일의 별 이름 전문가인 파울 쿠니츠쉬(Paul Kunitzsch)에 따르면 작은곰자리 알파별이 스텔라 폴라리스(Stella Polaris), 즉 '북극점의 별'로 처음 등장한 것은 베니스에서 발행된 1492년판 알폰소 목록(the Alfonsine Tables)에서였다고 합니다. 알폰소 목록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별목록입니다. 

스텔라 폴라리스(Stella Polaris)라는 이름은 1493년, 요하네스 스퇴플러(Johannes Stöffler, 1452~1531)가 만든 천구의에도 등장하며 16세기 초에는 스퇴플러의 책과 페터 아피안(Peter Apian, 1495~1552)의 책에도 등장합니다. 

 


그림 3
<코스모그라피쿠스 리베르(Cosmographicus Liber)>라는 이름의 책에 등장하는 북극성.
왼쪽 그림 중심에 'Stella Polaris'라는 표기가 보입니다. 이 책은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페터 아피안의 책으로서 1524년 발행되었습니다.
오른쪽 그림에서 북극성은 스텔라 마리스(Stella Maris)라는 또다른 이름으로 등장합니다. 
스텔라 마리스는 라틴어로 '바다의 별'이라는 뜻인데, 이 이름은 북극성이 항해에 활용된 별임을 말해줍니다. 


이 당시 북극성은 진북에서 약 3.5도 정도 떨어져 있었습니다. 
이는 오늘날 북극성의 위치와 비교해보면 다섯 배나 더 떨어져 있는 상황이었지만 분명한 것은 이때부터 작은곰자리 알파별이 북극점을 가리키는 별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참고로 이보다 앞 시대에 천구의 북극에서 가장 가까운 별은 오늘날 스트루베 1694(Struve 1694), 또는 HR 4893이라 등재된 기린자리(CAMELOPARDALIS)의 5등급 별이었습니다.  

사람들은 대개 북극성이 밝은 별이라는 선입견이 있습니다. 
하지만 북극성은 특별히 밝은 별이라고 볼 수 없죠. 
북극성의 밝기는 2등급입니다. 맨눈으로 봤을 때 가장 밝게 빛나는 별 50개 목록에 간신히 드는 수준입니다. 

현재 이 별은 천구의 북극으로부터 1도 이내에 들어와 있습니다. 
이 정도면 항해가들의 길잡이 별이 되기에 충분히 가까운 거리입니다.  

북극성은 2100년 경 천구의 북극에 가장 가까워져 0.5도 이내로 근접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때가 지나면 가차없는 세차운동 때문은 천구의 북극에서 다시 멀어지게 될 것입니다. 

(참고 : 딥스카이 원더스에 따르면 북극성이 천구의 북극과 가장 가까와 지는 때가  2100년 3월 24일이며, 이 때 겉보기 분리각은 27분 09초까지 좁혀질 것이라고 합니다. 번역자 주 )


작은곰자리의 별 
 
작은 국자의 바닥면을 장식하는 두 개 별, 즉, 작은곰자리 베타별과 감마(γ)별은 '북극의 수호자(Guardians of the Pole)'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아라비아에서 이 두 별은 '두 마리 송아지'를 의미하는 al-farqadān(알 파르카단)이라 불렀습니다. 
두 개 별 중 더 희미한 작은별자리 감마별의 이름 페르카드(Pherkad)가 바로 al-farqadān(알 파르카단)에서 온 것입니다. 
반면 작은별자리 베타별의 이름은 코캐브(Kochab)입니다. 
파울 크니츠쉬는 코캐브라는 이름의 기원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고 했습니다.
다만 아라비아어로 '별'을 의미하는 kaukab(카우카브)에서 온 것이 아닐까 추정할 뿐이라고 했죠. 

보데 (Johann Elert Bode, 1747~1826)는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에서 베타별과 감마별에 연결선을 긋고 '엘페카다인(elpherkadein)'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림 4
요한 엘레르트 보데,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의 작은곰자리. 
베타별과 감마별에 그은 연결선을 볼 수 있습니다. 


작은곰 꼬리의 두 번째 별인 작은곰자리 델타(δ)별은 일둔(Yildun)입니다. 
이 이름은 터키어로 '별'을 의미하는 yildiz(일디즈)의 철자를 잘못 쓴 이름입니다. 
파울 쿠니츠쉬에 따르면 이 별은 르네상스시대에 북극성을 이르는 터키어로 간주되었는데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며 이후 잘못이 교정되지 않은 채, 북극성에 가까이 있는 별에 임의대로 이름을 갖다 붙인 것이라고 합니다. 

10세기 아라비아의 천문학자 알 수피(al-Ṣūfī)는 <붙박이별의 서(Kitāb al-Kawākib al-Thābita)>라는 자신의 책에서 아라비아 인들이 작은곰자리의 일곱 개 별을 Banāt Na’sh al-Ṣughra(바낫 나쉬 알 주그라), 즉, '상여 앞의 작은 딸들'로 불렀다고 했습니다.  즉, 아라비아 인들은 작은곰의 몸통을 구성하는 네 개 별은 상여로, 꼬리를 구성하는 세 개 별은 딸로 본 것입니다. 알 수피는 또한 작은곰자리에 대응되는 큰곰자리의 일곱 개 별은 '상여 앞의 큰 딸들'로 알려져 있다고도 했죠. 

여기서 알 수피는 아라비아의 전통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작은곰의 꼬리를 구성하는 별이 만들어내는 아치가 물고기, 즉 al-fa’s(알 파스)의 몸통 한쪽 면을 형상화 한 것이며 반대쪽 몸통은 오늘날 작은곰자리 4별과 5별 및 기린자리의 스트루베 1694를 포함한 훨씬 희미한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했습니다.

앞서 잠깐 언급한대로 알수피 시대의 북극성은 스트루베 1694 (Struve 1694, Σ 1694) 였습니다. 

 


그림 5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소비에스키의 창공( Firmamentum Sobiescianum , 1690)의 작은곰자리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한글별자리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자리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2. 별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 이름을 우선 사용하였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ISBN-13 : 978-1-931559-44-7, ISBN-10 : 1-931559-44-9)에 제시된 고전 발음 또는 영어 발음에 입각한 별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3.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4.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