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68. 카시오페이아자리(CASSIOPEIA)

2025. 1. 21. 12:32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소유격 표기 : Cassiopeiae
약어 표기 : Cas
별자리 크기 순위 : 25번째
기원 : 프톨레마이오스가 알마게스트에 기록한 48개 별자리 중 하나. 
그리스어 표기 : Κασσιέπεια(카시에페이아)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닻별, 카시오페이아자리, 카시오페이아


그림 1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1603)에 그려진 카시오페이아자리
의자 등받침에 그려진 큰 별은 '티코의 별'이라 이름붙여진 초신성입니다. 

 

카시오페이아는 아름답지만 허영심이 많은 왕비입니다. 
그녀는 에티오피아의 왕 케페우스의 부인이었습니다. 
케페우스 역시 케페우스자리(CEPHEUS)로 카시오페이아자리 바로 옆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부부가 함께 별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유일한 경우입니다. 

전통적으로 카시오페이아의 철자는 'Cassiepeia(카시에페이아)'로 기록됩니다. 
그리스어 Κασσιέπεια(카시에페이아)에서 유래되었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사용되는 카시오페이아(Cassiopeia)라는 표기는 천문학자들에 의해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어느날 카시오페이아는 삼단같은 머리를 빗어내리며 자신이 네레이드라 불리는 바다의 님프보다 훨씬 아름답다고 주장했습니다. 필멸의 존재인 인간의 교만은 징벌의 대상입니다. 이 말을 들은 네레이데스는 징벌을 다짐하죠.  
당시에는 50명의 네레이데스가 있었습니다. 
모두 바다의 아버지라 불리는 네레우스(Nereus)의 딸입니다. 
이들 중 한 명인 암피트리테(Amphitrite)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아내였습니다. 
암피트리테는 동생들과 함께 포세이돈을 찾아가 카시오페이아 처벌을 요청하였습니다. 

포세이돈은 괴물을 보내 케페우스의 나라를 황폐하게 만듭니다. 
이 괴물은 고래자리(CETUS)를 상징합니다. 

케페우스와 카시오페이아는 괴물을 달래기 위해 신탁에 따라 딸 안드로메다를 바위에 묶어 희생제물로 바치려 했습니다. 
하지만 안드로메다는 페르세우스에 의해 극적으로 구조되죠. 
이 장면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유명한 구조 장면이기도 합니다. 

 


그림 2
요한 엘레르트 보데,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의 카시오페이아자리


밤하늘의 카시오페이아는 그녀의 왕좌에 앉아 있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매일 밤 그녀는 천구의 북극 주위를 돕니다.
때로는 똑바로 돌지만, 때로는 위태위태하게 떨어질 것처럼 거꾸로 돌기도 하죠. 

고대 작가들은 거꾸로 내리꽂히듯이 떨어지는 카시오페이아의 모습을 신이 내린 징벌의 일부로 보기도 했습니다. 
아라토스(Aratus, 315~243BC)는 카시오페이아가 두 발을 버둥거리며 마치 곡예사처럼 바다로 곤두박질친다고 썼습니다. 
그리스 위도에서 봤을 때, 가장 낮은 지점의 카시오페이아는 물 속에 처박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입니다. 
카시오페이아의 남편 케페우스도 아내와 동일한 운명에 처해졌죠. 

게르마니쿠스 카이사르(Germanicus Caesar, BC 15년~AD 19년)는 카시오페이아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습니다.


그녀의 얼굴은 고통으로 일그러져 있다. 
그녀는 어머니의 죄를 대신하여 제물로 바쳐진 안드로메다를 애통해하는 듯 뻗어 있다.

바로 이것이 아라토스와 히기누스(Hyginus)의 작품에서 일관되게 보여주는 카시오페이아의 묘사입니다. 

가끔 카시오페이아의 양 손목이 그녀가 앉아 있는 왕좌에 묶여있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1515년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의 목판화에서부터는 양 팔을 쭉 뻗고 있는 모습 대신 한 손에 든 종려나무 잎을 하늘높이 쳐들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지기 시작했습니다. 다른 한 손은 옷자락을 잡고 있거나 머리채를 잡아 올린 모습으로 그려집니다. 

알마게스트의 아라비아 버전이라 할 수 있는 알 수피(al-Ṣūfī, 903~986)의 <붙박이별의 서(Kitāb al-Kawākib al-Thābita)>에서는 카시오페이아자리를 '왕좌에 앉아 있는 부인'이라는 뜻의 Dhāt al-Kursīy(다트 알 쿠르시)라 불렀습니다. 


그림 3
프톨레마이오스의 묘사를 충실히 따르고 있는 마쉬 144(Marsh 144, 10C추정)에 그려진 카시오페이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

카시오페이아자리는 다섯 개의 밝은 별이 명확한 더블유(W)자 모양으로 늘어서 있습니다. 
아라토스와 같은 고대 작가들은 이를 열쇠 또는 접혀 있는 문으로 보았습니다. 

2.2등급의 카시오페이아자리 알파(α)별은 셰더(Schedar)입니다. 
이 이름은 아라비아어로 '젖가슴'을 의미하는 al-sadr(알 사드르)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2.3등급의 카시오페이아자리 베타(β)별은 카프(Caph)입니다. 
이 이름은 아라비아어로 '얼룩진 손'을 의미하는 al-kaff al-khaḍīb(알 카프 알 카띠브)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아라비아에서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들을 헤나로 문신한 손으로 보았습니다. 

2.7등급의 카시오페이아자리 델타(δ)별 이름은 루크바(Ruchbah)입니다.
이 이름은 아라비아어로 무릎을 의미하는 rukbat(루크밧)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더블유(W)에서 중심점에 자리잡은 별은 고유한 이름은 없는 카시오페이아자리 감마(γ)별입니다. 
이 별은 갑작스럽게 밝기가 증가하는 불규칙변광성입니다. 

티코의 별

1572년 11월, 카시오페이아의 익숙한 W 모양이 밝은 별의 출현으로 흐트러지는 일이 발생합니다. 
이 별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티코 브라헤(Tycho Brahe)이기 때문에 '티코의 별'이라고 불립니다. 
이듬해 티코는 <이전 시대에 아무도 보거나 기억하지 못한 새로운 별(De nova et nullius ævi memoria prius visa stella)>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 논문에 이 새로운 별의 위치를 그린 그림이 실려 있습니다. 

 




그림 4
<이전 시대에 아무도 보거나 기억하지 못한 새로운 별(De nova et nullius ævi memoria prius visa stella)>논문에 그려진 1572년의 초신성 그림
초신성이 가장 위에 크게 그려져 있으며 'I'라고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 아래 'H'라 표시된 희미한 별은 4등급의 카시오페이아자리 카파(κ)별입니다. 
카시오페이아자리를 구성하는 다섯 개 별에 각각  F, E, D, B, G 라벨이 붙어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이 별이 초신성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당시 이 초신성의 밝기는 금성에 비견될 만한 -4등급까지 밝아졌습니다. 
그리고 이후 몇 년동안 맨눈으로 충분히 볼 수 있을 만큼 밝은 별로 남아 있었습니다. 

이후 요한 바이어(Johann Bayer, 1572~1625)가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를 출판하던 1603년에 이 초신성은 더 이상 눈으로 볼 수 없을만큼 희미해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한 바이어는 카시오페이아자리 한 구석에 이 초신성을 거대한 별로 그려넣었습니다.(그림 1 참고)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1611~1687) 역시 소비에스키의 창공(Firmamentum Sobiescianum, 1690)에서 카시오페이아자리와 케페우스자리 모두에 이 초신성을 그려넣었습니다.(그림 5 참고) 


그림 5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소비에스키의 창공( Firmamentum Sobiescianum , 1690)에 그려진 카시오페이아자리.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처럼 의자 등받이 뒤에 티코의 별이 그려져 있습니다.(그림 1 참고)
하지만 당시 이 초신성은 더 이상 눈에 보이지 않는 별이었습니다.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한글별자리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자리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2. 별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 이름을 우선 사용하였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ISBN-13 : 978-1-931559-44-7, ISBN-10 : 1-931559-44-9)에 제시된 고전 발음에 입각한 별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3.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4.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