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66. 천칭자리(LIBRA)

2025. 1. 19. 16:08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소유격 표기 : Librae
약어 표기 : Lib
별자리 크기 순위 : 29번째
기원 : 프톨레마이오스가 알마게스트에 기록한 48개 별자리 중 하나. 
그리스어 표기 : Χηλαί (케라이)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저울자리, 천칭자리, 천칭궁, 천칭좌

 




그림 1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1603)에 그려진 천칭자리



오늘날 천칭자리가 있는 구역은 원래 고대 그리스에서는 전갈의 집게발이 있는 곳이었습니다. 
아라토스(Aratus, 315~243BC)와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 276~194BC)는 이 별자리를 Χηλαί (케라이)라 불렀습니다. 이 단어는 '집게발'이라는 뜻인데 천칭자리 개개 별 이름에도 동일한 뜻이 남아 있습니다. 

하지만 세상 모든 일에 변화가 있듯, 전갈자리를 비집고 들어간 천칭자리는 오늘날 오히려 전갈자리(SCORPIUS)보다 더 큰 별자리가 되었습니다. 다만 사람들의 관심은 천칭자리보다는 전갈자리에 훨씬 더 많죠. 

 


그림 2
존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아틀라스 꾈레스티스(Atlas Coelestis, 1729)의 천칭자리.
비록 이목은 덜 끌지 몰라도 천칭자리는 전갈자리보다 더 큰 별자리입니다.


천칭자리가 언제, 누구에 의해 만들어진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이 지역에 '균형'이라는 의미로서 저울이 강조된 것은 기원전 1세기 경 로마에서였습니다. 
다만 서기 150년 경 집필된 알마게스트에서 프톨레마이오스는 이 별자리를 여전히 Χηλαί (케라이)로 언급했습니다. 
이미 이 지역이 천칭자리로 교체되는 와중이었지만 프톨레마이오스는 전통을 따르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알마게스트와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로마의 조각상 파르네세 아틀라스(the Farnese Atlas)에는 이미 한 쌍의 접시를 달고 있는 천칭이 등장합니다. 

프톨레마이오스 이후 8세기가 지난 아라비아에서 천칭자리는 '집게발'을 의미하는 al-Zubānayān(알 주바나얀)과 '저울'을 의미하는 al-Mīzān(알 미잔)이 동시에 쓰였습니다. 이때까지 두 개 정체성이 계속 유지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림 3
10세기 아라비아의 영향에 따른 별자리 그림을 담고 있는 마쉬 144(Marsh 144, 10C추정)에 그려진 천칭자리

 

황도대의 다른 별자리가 동물이나 신화상의 인물을 상징하는데 반해 천칭자리는 유일하게 생물체가 아닌 별자리입니다.

균형을 재는 천칭으로의 상징이 정해지자 천칭자리는 자연스럽게 전갈자리에서 분리되었습니다. 
동시에 반대쪽 처녀자리와의 연관성이 나타나죠. 
처녀자리(VIRGO)는 정의의 여신인 디케(Dike) 또는 아스트라이아(Astraea)를 상징합니다. 
실제 하늘에서 천칭자리의 위치는 처녀의 발밑에 있지만 처녀자리와의 연관성이 강화되면서 천칭자리는 정의의 여신이 하늘로 들어올린 정의의 저울이라는 상징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림 4
요한 엘레르트 보데,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 1801)의 천칭자리
오른쪽으로 처녀자리의 발이 보입니다.

 
천칭자리의 첫 번째 지점.

고대 로마인들에게 천칭자리는 특별한 별자리였습니다. 
로마가 건국될 당시 달이 천칭자리에 있었다는 전설이 전할 정도입니다. 

1세기 로마의 작가 마닐리우스(Marcus Manilius)는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습니다. 

 

이탈리아는 정의의 여신이 가진 합법적 상징인 천칭자리에 속한다. 
그 아래서 세계를 다스리는 로마와 여신의 주권이 수립되었다. 

 

마닐리우스는 천칭자리를 '계절이 균형을 이루게 하며 밤과 낮이 서로 조화를 이루게 하는 상징'으로 묘사하였습니다. 

태양은 추분에 천칭자리에 위치하였습니다. 이때는 밤과 낮의 길이가 같은 날입니다. 
따라서 로마인들에게 천칭은 '균형'을 시각화한 도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로마시대에 추분점은 이미 세차운동으로 인해 천칭자리가 아닌 처녀자리로 이동한 상태였습니다. 
따라서 마닐리우스가 묘사한 천칭자리는 천문학적 입장이라기보다는 점성술적 입장에서 기술된 것입니다. 

오늘날 추분점은 여전히 처녀자리에 있습니다. 
추분점이 천칭자리에서 처녀자리로 넘어온 것은 기원전 730년 경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추분점은 '천칭자리의 첫 번째 지점(first point of Libra)'이라고 언급되곤 합니다. 
하지만 끊임없는 세차운동의 효과로 추분점은 2,439년 경 사자자리(LEO)로 넘어갈 것입니다. 

사실 이 지역에 천칭자리가 있다는 생각은 로마시대보다 훨씬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기원전 약 1000년 경 바빌로니아 인들은 이 지역을 지브.바.안.나(ZIB.BA.AN.NA)라고 불렀습니다. 
이 단어는 '천상의 저울'이라는 뜻입니다. 
당시 추분점은 진짜 천칭자리에 있었습니다. 
따라서 고대 로마인들이 그리스 시대보다도 훨씬 이전에 이미 존재했던 별자리를 되살려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천칭자리의 별 

2.7등급의 천칭자리 알파(α)별 이름은 주벤엘제누비(Zubenelgenubi)입니다. 
이 이름은 아라비아어로 '남쪽 집게발'을 의미하는 al-zubānā al-janūbī(알 주바나 알 자누비)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이름 자체가 원래 이 자리에 전갈의 집게발이 있었음을 알려줍니다. 

천칭자리 베타(β)별 주벤에샤말리(Zubeneschamali)는 알파별보다 약간 더 밝은 2.6등급입니다. 
이 이름은 아라비아어로 '북쪽 집게발'을 의미하는 al-zubānā al-shamālī(알 주바나 알 샤말리)에서 유래한 이름입니다. 

천칭자리에 프톨레마이오스가 기록한 아모르포토이는 아홉 개입니다. 
이 중 여덟 개는 여전히 천칭자리에 있지만 아홉 번째 별은 전갈자리에 포함되어 지금은 전갈자리 크시(ξ)별이 되었습니다.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한글별자리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자리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2. 별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 이름을 우선 사용하였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ISBN-13 : 978-1-931559-44-7, ISBN-10 : 1-931559-44-9)에 제시된 고전 발음에 입각한 별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3.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4.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