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별자리 이야기(115)
-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공식적으로 선정된 총 88개 별자리 목록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각 별자리에 대한 세부 설명은 별자리 컬럼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별자리공식표기그리스어표기약어기원영역(Square degrees)영역 비중(%)가시 위도(전체)가시 위도(부분)별 개수(6.5등급 이하)거문고LYRAΛύραLyr고대286.50.69490°N – 42°S42°S – 64°S73게CANCERΚαρκίνοςCnc고대505.91.22690°N – 57°S57°S – 83°S104고래CETUSΚῆτοςCet고대1231.42.98565°N – 79°S90°N – 65°N79°S – 90°S189고물PUPPISναῦϛPup고대(라카유 분할)673.41.63239°N – 90°S78°N – 39°N237공기..
2024.10.12 -
STAR TALES 2장 - 별지도의 역사 10. 아르겔란더와 하이스의 별지도
이전글 : STAR TALES 2장 - 별지도의 역사 9. 보데의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와 전통의 종말 아르겔란더의 우라노메트리아 노바(Uranometria Nova) 1843년판, 부분 본 천문대 대장이었던 프리드리히 빌헬름 아우구스트 아르겔란더(Friedrich Wilhelm August Argelander, 1799~1875)는 본 별목록(Bonner Durchmusterung)으로 잘 알려져 있는 프러시아 태생의 독일 천문학자입니다. 본 별목록에는 북극점에서 남위 2도까지를 범위로 하는 9등급 이하의 324,198개 별이 담겨 있으며 1859년부터 3년 동안 세 권의 책으로 출판되었습니다. 본 별목록보다는 덜 알려져 있지만 아르겔란더의 별지도 역시 알아두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
2024.10.11 -
STAR TALES 2장 - 별지도의 역사 9. 보데의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와 전통의 종말
이전글 : STAR TALES 2장 - 별지도의 역사 8. 플램스티드의 아틀라스 꾈레스티스(Atlas Coelestis) 플램스티드의 별목록과 별지도는 천문학에 새로운 표준을 만들었습니다. 따라서 3장부터 다룰 88개 별자리 삽화에 플램스티드 별지도 삽화를 주로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많이 인용한 것이 고전적 삽화를 사용한 위대한 별지도 우라노그라피아(Uranographia)죠. 우라노그라피아의 정식 이름은 '최신, 최고의 천문 관측을 20개 목판으로 담아낸 별지도 또는 천문도'라는 뜻을 가진 'Uranographia sive astrorum descriptio viginti tabulis oeneis incisa ex recentissimis et absolutissimis As..
2024.10.10 -
STAR TALES 2장 - 별지도의 역사 8. 플램스티드의 아틀라스 꾈레스티스(Atlas Coelestis)
이전글 : STAR TALES 2장 - 별지도의 역사 7. 소비에스키의 창공(Firmamentum Sobiescianum) 18세기, 별지도에 큰 족적을 남긴 이는 영국의 첫번째 왕립천문학자 존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1646~1719)입니다. 그는 새로 만들어진 그리니치왕립천문대에서 8등급 이하의 별 3,000여 개를 당시로서는 유례없는 정확도로 기록했습니다. 플램스티드의 별목록은 그의 사후인 1725년, 라는 제목의 3권의 책으로 발행되었습니다. 이 책에서 별목록이 담긴 부분은 '브리태니커 목록(Catalogus Britannicus)'이라고 부릅니다. 이로부터 4년 후, 플램스티드의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25개의 우아한 판화가 그려진 별지도가 발행되었습니다. 각 장에 별자리 하나..
2024.10.07 -
STAR TALES 2장 - 별지도의 역사 7. 소비에스키의 창공(Firmamentum Sobiescianum)
이전글 : STAR TALES 2장 - 별지도의 역사 6.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와 바이어명명법 바이어가 우라노메트리아를 펴내고 몇년 후 천문학계는 망원경 활용을 통해 혁명적인 변화를 맞게 됩니다. 망원경을 통해 그동안 볼 수 없었던 희미한 별을 볼 수 있게 되었고 별의 위치 역시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었죠. 그런데 이러한 혁신에 전혀 영향받지 않는 사람이 한 명 있었습니다. 바로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1611~1687)입니다. 그는 폴란드 단치히(오늘날의 그단스크)의 천문학자였습니다. 헤벨리우스는 완고하게도 맨눈관측을 통한 별 위치 측정을 계속했습니다. 그는 오히려 렌즈가 대상의 위치를 왜곡시킬거라 생각했습니다. 그림 1 : 소비에스키의 창공(F..
2024.10.05 -
STAR TALES 2장 - 별지도의 역사 6.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와 바이어명명법
이전글 : STAR TALES 2장 - 별지도의 역사 5. 피콜로미니 별지도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하늘을 관측하는 능력이 정밀해지고 정확성도 높아짐에 따라 별지도 역시 지속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처음 등장한 대작 별지도는 1603년 천문학에 대한 열정이 가득했던 요한 바이어(Johann Bayer, 1572~1625)에 의해 출판되었습니다. 바이어는 독일 아우구스부르그의 변호사였습니다. 우라노메트리아는 프톨레마이오스 48개 별자리를 하나하나 한장의 그림으로 담아낸 별지도입니다. 이 별지도에는 프톨레마이오스가 알마게스트에 남긴 별좌표와 우라노메트리아가 작성되기 얼마전 티코 브라헤가 발표한 별목록이 담겼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 별목록에는 존재하지 않는 남반구의 하늘도 한장을 할당..
202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