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15. 남쪽물고기자리(PISCIS AUSTRINUS)

2024. 11. 2. 14:542. 별자리 이야기/STAR TALES

소유격 표기 : Piscis Austrini
약어 표기 : PsA
별자리 크기 순위 : 60번째
기원 : 프톨레마이오스가 알마게스트에 기록한 48개 별자리 중 하나  
그리스어 표기 : Ἰχθύς Νότιος (이크튀스 노티오스)
표준국어대사전 등재명 : 남쪽물고기자리, 남어(南魚)자리, 남어좌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 276~194BC)는 이 별자리를 '위대한 물고기자리'라고 불렀습니다. 
그는 이 물고기가 황도 12궁 중 하나인 물고기자리(PISCES)를 구성하는 두 마리 물고기의 어미라 여겼습니다.  

물고기자리와 마찬가지로 이 별자리 신화는 중동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즉, 이 별자리의 기원은 고대 바빌로니아인 것입니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리아 인이 다산의 여신으로 섬기고 있는 데르케토가 북시리아 유프라테스강 인근에 있는 만비즈 호수에 떨어졌다고 합니다.
그녀는 이곳에서 거대한 물고기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죠.  
남쪽물고기자리는 데르케토에게 도움을 준 거대한 물고기인 것입니다. 
데르케토를 고대 그리스에서는 '아타르가티스(Atargatis)'라 불렀습니다.  

히기누스는 물고기자리에 대한 기록에 이어 시리아 인들이 물고기를 먹지 않는 이유는 물고기를 신으로 여겼기 때문이라고 기록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별자리의 신화는 실망스럽게도 피상적인 수준입니다. 
만비즈는 그리스에 '거룩한 도시'라는 의미를 담은 '히에라폴리스(Hieropolis)'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전적 기원을 담은 또다른 이야기는 아타르가티스의 신전에 거룩한 물고기가 사는 샘물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여신은 이 물고기를 잡는 사람들을 징벌했다고 합니다. 
다만 그녀를 섬기는 사제들이 제례의 한 부분으로 이 물고기들을 먹는 것은 안전했다고 합니다. 

그리스 작가 디오도로스 시켈로스(Diodorus Siculus, 기원전 1세기)에 따르면 데르케토는 시리아 청년 카이스트로스(Caystrus)와의 사랑을 부끄러워하여 자살을 목적으로 팔레스타인 아스칼론에 있는 호수에 떨어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자살은 실패했고, 데르케토는 세미라미스(Semiramis)라는 딸을 낳게 되죠. 
데르케토는 카이스트로스를 죽이고 아이를 유기합니다. 
그 아이가 비둘기들의 보살핌을 받고 자라나 바빌론의 여왕이 되었다고 합니다.  
데르케토는 이 호수에서 반은 여인, 반은 물고기인 인어로 변신한 채 살아갔다고 합니다. 

알마게스트에서 남쪽물고기자리는 마지막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사용한 이름은 'Ἰχθύς Νότιος(이크튀스 노티오스)'입니다. 


그림 1
마쉬 144(Marsh 144, 10C추정)에 그려진 남쪽물고기자리


페트로스 프란키우스(Petrus Plancius, 1552~1622)와 요한 바이어(Johann Bayer, 1572~1625) ,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1611~1687)와 요한 엘레르트 보데(Johann Elert Bode, 1747~1826) 모두 이를 그대로 라틴어로 번역한 이름인 '피스키스 노티우스(Piscis Notius)'를 사용하였습니다. 
뜻은 같지만 다른 라틴어 표기인 '피스키스 아우스트랄리스(Piscis Australis)'를 처음 사용한 사람은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 1713~1762)입니다. 
하지만 존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1646~1719)는 'Australis' 대신 'Austrinus'라는 표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별목록(1725)과 별지도(1729)에 '피스키스 아우스트리누스(Piscis Austrinus)'라는 이름을 달았고 이 이름이 공식명칭으로 굳어졌습니다. 

남쪽물고기자리의 별 : 포말하우트와 다른 별들.

남쪽물고기자리는 물고기자리보다 좀더 눈길을 끄는 별자리입니다.
이 별자리에 1등급의 별 포말하우트(Fomalhaut)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 이름은 아라비아어로 '물고기 주둥이'를 의미하는 '팜 알-후트(fam al-ḥūt)'에서 왔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 역시 이 별을 물고기 주둥이에 있는 별로 묘사하였습니다.  

남쪽물고기는 물병자리(AQUARIUS)의 물단지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 마시는 모습으로 그려집니다. 
물고기가 하는 행동으로는 특이한 행동이죠. 
물병자리에서 흘러내리는 물은 포말하우트에서 끝납니다. 
그래서 프톨레마이오스는 포말하우트를 물병자리와 남쪽물고기자리가 공유하는 별로 보았습니다.  

베두인 족은 포말하우트와 에리다누스강자리(ERIDANUS) 알파(α)별 아케르나르(Achernar)를 한 쌍의 타조로 보았습니다. 
포말하우트는 이따끔 '포르말하우트(Formalhaut)'로 잘못 표기되기도 합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알마게스트에서 이 지역에 여섯 개 별을 더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이 별들은 남쪽물고기자리의 형상을 구성하는 별들이 아닌 '아모르포토이'였습니다. 
오늘날 이 별들은 현미경자리(MICROSCOPIUM)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16세기 말 피터 디르크스준 케이저(Pieter Dirkszoon Keyser, 1540~1596)와 프레데릭 드 후트만(Frederick de Houtman, 1571~1627)이 남반구에서 12개 별자리를 추가로 만들 때, 프톨레마이오스가 남쪽물고기의 꼬리 긑에 위치시킨 별은 두루미자리(GRUS)의 머리로 할당되었습니다. 
오늘날 이 별은 두루미자리 감마(γ)별이 되었습니다. 

바이어를 비롯한 별지도 제작자들은 남쪽물고기의 꼬리가 두루미의 머리와 겹치지 않도록 곧게 뻗는 형상으로 그렸습니다. 

 




그림 2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 1603)에 그려진 남쪽물고기자리

 


그림 3
요하네스 헤벨리우스(Johannes Hevelius), 소비에스키의 창공( Firmamentum Sobiescianum , 1690)에 그려진 남쪽물고기자리.
아래 두루미자리(GRUS)가 그려져 있습니다. 

 


그림 4
존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아틀라스 꾈레스티스(Atlas Coelestis, 1729)에 등장하는 남쪽물고기자리.
물병자리 아래 희미하게 그려져 있습니다. 

 

그림 5
요한 보데의 우라노그라피아(1801) 16장에 그려져 있는 남쪽물고기자리 
누운 자세로 물병자리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마시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물고기의 주둥이에 있는 밝은 별은 포말하우트입니다. 
꼬리 뒤쪽의 별자리는 지금은 사라진 별자리인 열기구자리(Globus Aerostaticus)입니다. 

 

'STAR TALES 3장 - 88개 별자리' 목록으로 돌아가기

 

번역자 주석 
1. 한글별자리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자리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2. 별 이름은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된 별 이름을 우선 사용하였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ISBN-13 : 978-1-931559-44-7, ISBN-10 : 1-931559-44-9)에 제시된 고전 발음에 입각한 별 이름을 사용하였습니다. 
3. STAR TALES는 영국의 천문작가 이안 리드패스(Ian Ridpath)의 별자리 개론서입니다. 
4. 원문은 이안 리드패스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본 글은 저자의 허락을 받아 포스팅한 글입니다. 
    원문과 번역문 모두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